한국교육사

시작하기. 무료입니다
또는 회원 가입 e메일 주소
한국교육사 저자: Mind Map: 한국교육사

1. 근대의 교육

1.1. 개화기의 근대교육 돌입

1.1.1. 개화사상

1.1.1.1. 우수한 서구의 학문과 기술을 속히 도입해야 한다는 진보적 입장에서 나타남.

1.1.2. 위정척사사상

1.1.2.1. 진보세력을 완강하게 경계하면서 서구의 문물을 배척하는 입장을 취함.

1.1.3. 동학사상

1.1.3.1. 농민들이 주축이 되어 자주적 가치를 내걸었으나 한계를 지니고 말았음.

1.2. 정부의 신교육 정책

1.2.1. 통변학교

1.2.1.1. 외국과의 교류에 직면한 영어 통역관 양성을 위해 1882년 설립

1.2.2. 육영공원

1.2.2.1. 1886년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관립 교육관

1.2.3. 사범학교

1.2.3.1. 1895년 근대식 학교제도로 발표되었고 한성사범학교 설립

1.2.4. 소학교, 중학교, 상공학교, 여학교 설립

1.3. 선교계와 민족 선각자의 교육활동

1.3.1. 개항을 전후해 외국에서 들어온 선교단체와 선교사들은 조선의 교육체제를 새롭게 변화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음.

1.4. 민족 선각자에 의한 교육

1.4.1. 구국운동 차원에서 신교육을 시행하는 학교를 적극적으로 설립하였다.

2. 일제강점기 및 해방 이후의 교육

2.1. 일제에 의한 근대교육의 왜곡

2.1.1. 통감부에 의한 식민통치

2.1.2. 사립학교령 발표로 인한 통제 강화

2.1.3. 우리나라를 강제로 병합 및 조선총독부 설치

2.2. 제1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교육

2.2.1. 각 급 학교의 연한을 단축하였음.

2.2.2. 한국인 교육은 초등교육에 치중, 중등교육은 실업 교육을 강화하였다.

2.2.2.1. 단순 기술 인력 양성하기 위한것.

2.2.3. 일본어 교육 강화

2.3. 제2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교육

2.3.1. 일본인과 동일학 학제와 교육제도 도입

2.3.1.1. 일본식 수업 강요

2.3.2. 한국어와 일본어를 같이 필수교과로 도입

2.3.3. 한국인과 일본인의 공학을 원칙

2.3.4. 어용적 관립대학을 설립하려는 움직임 발생.

2.3.5. 1924년 경성제국대학 예과 설립 및 2년 뒤 법학부와 의학부 설치

2.4. 제3.4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교육

2.4.1. 학교의 명칭을 일본의 학교 명칭과 동일하게하고 수업 연한을 조정함.

2.4.2. 신설학교 한국인 일본인 공학하였고, 사범학교는 하나로 통합하였음.

2.4.3. 조선총독부는 사립학교를 개편하고 교명을 변경하게 했으며, 사립학교 설립 불허

2.4.4. 조선어를 수의과로 밀어내고 한국인 교원을 교단에서 몰아냄.

2.5. 제3절 해방 이후의 교육

2.5.1. 미 군정기의 교육

2.5.1.1. 재조선 미육군사령부 군정청 이라는 통치기구를 만들고 3년여에 걸친 미군정 시대를 열었음.

2.5.2. 정부수립 후의 교육

2.5.2.1. 1949년 교육법 재정 및 공포

3. 고대 및 중세의 교육

3.1. 고대의 교육

3.1.1. 구체적 사료가 미비함

3.1.2. 명확한 파악 어려움

3.1.3. 실존적 조화 지향 특성

3.1.4. 단군신화의 특징

3.1.4.1. 현세지향적 인간중심사고

3.1.4.2. 극가하는 인간에서 이상적인간으로

3.1.4.3. 소아보다 대아 중시

3.1.5. 우리 민족의 의식 삶이 원형 형성

3.1.5.1. 홍익인간

3.2. 삼국시대의 교육

3.2.1. 고구려의 교육

3.2.1.1. 삼국사기

3.2.1.2. 소수림왕의 태학설립

3.2.2. 백제의 교육

3.2.2.1. 직접적인 사료 거의 없음

3.2.2.2. 중국과의 교류 활발

3.2.3. 신라의 교육

3.2.3.1. 화랑도 교육

3.3. 고려시대의 교육

3.3.1. 관학

3.3.1.1. 국자감

3.3.1.2. 향교

3.3.1.3. 학당

3.3.2. 사학

3.3.2.1. 12 공도

3.3.2.2. 서당

3.3.3. 과거제도

4. 조선시대의 교육

4.1. 관학

4.1.1. 성균관

4.1.1.1. 입학자격은 생원, 진사과의 급제자를 원칙으로함.

4.1.2. 4학

4.1.2.1. 4개의 학당을 말함 동부, 서부, 남부, 중부

4.1.3. 향교

4.2. 사학

4.2.1. 서원

4.2.1.1. 16세기 중반 선현존숭과 후진양성을 목적으로 지방에 세워지기 시작함.

4.2.2. 서당

4.2.2.1. 고려 왕조의 사숙을 계승한 전통의 사설교육기관

4.3. 학규와 과거제도

4.3.1. 학규

4.3.1.1. 학령

4.3.1.2. 권학사목

4.3.1.3. 향학사목

4.3.1.4. 9재학규

4.3.1.5. 진학절목

4.3.1.6. 경국대전

4.3.1.7. 학교모범

4.3.1.8. 학교사목

4.3.1.9. 학교절목

4.3.1.10. 원점절목

4.3.2. 과거제도

4.3.2.1. 전문관료

4.3.2.1.1. 문과, 무과, 역과, 음양과, 의과, 율과

4.4. 조선의 교육사상

4.4.1. 유학의 교육사상

4.4.1.1. 선진유학

4.4.1.1.1. 고대유학이며, 공자와 맹자 사상을 중심으로 나타남

4.4.1.2. 한당유학

4.4.1.3. 신유학

4.4.1.3.1. 공맹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발전한 정주학과 양명학, 고증학을 포괄한다.

4.4.2. 성리학의 이론

4.4.3. 교육사상가

4.4.3.1. 퇴계 이황

4.4.3.2. 율곡 이이

4.4.3.3. 반계 유형원

4.4.3.4. 성호 이익

4.4.3.5. 다산 정약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