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기. 무료입니다
또는 회원 가입 e메일 주소
지구촌 저자: Mind Map: 지구촌

1. 공통점

1.1. ㆍ

1.2. ㆍ

1.3. ㆍ

1.4. ㆍ

2. 차이점

2.1. ㆍ

2.2. ㆍ

2.3. ㆍ

2.4. ㆍ

3. 평화를 위한 각 주체의 노력

3.1. 국제기구

3.1.1. 지뢰 금지 국제 운동 (ICBL) (하성)

3.1.1.1. 지뢰를 세상에서 없애는 것과 국제 운동도 합니다

3.1.2.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 (윤재)

3.1.2.1. 1949년 설립된 NATO는 북대서양 지역의 안보를 보장하고, 회원국 간의 군사적 협력을 증진하는 군사 동맹 기구입니다.

3.1.3. **한국 국제 협력단<KOICA>** (정린아)

3.1.3.1. 한국 국제 협력단은 무상 협력 사업을 주관하는 공공기관입니다. ㄴ>이라크 북부에서만 600만 명 이상의 집을 잃은 사람들이 발생했고, 이 과정에서 여성 피해자도 다수 생겨났습니다 전쟁으로 피해를 입은 이라크 북부 여성들을 돕기 위해 지원 센터를 설립했습니다.

3.1.4. 국제 노동기구(ILO) (건영)

3.1.4.1. **1)**자유롭고 평등하고 안전하게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노동을 보장하는일을한다. **2)** 직업훈련과 재활, 고용 정책, 노동 행정, 노동법, 노사관계, 근로 환경, 관리 개발, 협동조합, 사회 보장, 노동 통계,안전등의 기술지원도 제공하는 일을한다.

3.1.5. 세계식량계획<WFP> (태연)

3.1.5.1. 굶주리는 사람들에게 식량을 돈이나 물건으로 도움을 주고, 재해나 분쟁이 발생한 지역에 구호작업을 벌이는 일이다. 또 기아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도 병행한다.

3.1.6. 국제 연합 난민 기구 (도현)

3.1.6.1. 1) 난민들에게 안전한 피난처와 식수, 필수 생활용품 등을 제공 2) 난민들이 고향으로 돌아가거나 새로운 곳에 안전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도움

3.1.7. Interpol (IPCO) (현서)

3.1.7.1. 하는 일:국제적인 형사 사건의 조사, 정보, 자료의 교환, 수사 협력의 일을 주로 한다.

3.1.8. 국제 통화 기금(IMF) (승민)

3.1.8.1. 국제 통화 및 금융제도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 금융 기구이다. 이 기구는 설립 목적에 따라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 국제통화문제에 대한 협력과 외환의 안정 촉진이다. 이는 회원국들의 경제적 안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3.1.9. UN평화국제교류기구

3.1.9.1. 기부금으로 사람들을 구하고

3.1.10. 유엔 마약범죄사무소(UNODC) (찬용)

3.1.10.1. 마약이나 범죄같은 분야에 대한 연구를 합니다. 초국가조직범죄, 반태러등을 예방하는 일을 합니다.

3.1.11. UN 아동 기금 (정현)

3.1.11.1. 하는 일:어린이들의 생존,보호,발달등에 여러 권리를 책임짐

3.1.12. 세계지적소유권기구 (박지호)

3.1.12.1. 1지적 재산권 관련 정책 개발 및 권고안 제시 2가입국 간의 분쟁 해결 절차 제공 3저작권 상표권 특허권 등 다양한 유형의 지적 재산권 등록 및 관리 시스템 구축

3.1.13. 세계보건기구 (김윤서)

3.1.13.1. 하는일: 1)전염병과 풍토병 및 기타 질병 퇴 치활동 2) 회원국정부의 보건 부문 발전을 위한 원조제공

3.1.14. 국제연합(UN) (건하)

3.1.14.1. 하는 일 : 1) 국제 협력 증진 2)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평화유지군, 인권위원회, 세계보건기구 등을 운영한다.

3.1.15. 세계 식량계획 (동환)

3.1.16. 유엔 인권 이사회 (해인)

3.1.16.1. 인권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인권침해를 해결하고자 만든 이사회이다.

3.1.17. 세계관광기구 (보람)

3.1.17.1. 1)유엔 개발계획 활동참여 2)유엔 개발계획 활동참여 3)유엔 및 전문 기구와의 협력

3.1.18. 국제 연합 아동 기금 (유정)

3.1.18.1. 1. 어린이들이 안전한 공간에서 교육받도록 도움 2. 어린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 도움

3.1.19. 세계 무역 기구 (WTO) (주하)

3.1.19.1. 국제 무역 분쟁을 해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3.1.20. 국제철도연맹 (주빈)

3.1.20.1. 세계가국의 철도사업자로 조직된 국제기구다

3.1.21. 경제 개발 협력 기구 (윤술)

3.1.21.1. 경제 발전을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

3.1.22. UN 여성기구 (나윤)

3.1.22.1. 여성의 권한을 위해 일하는 국제연합이다.

3.2. 비정부 기구(NGO)

3.2.1. 세이브 더 칠드런 (동환)

3.2.1.1. 세이브 더 칠드런은'아이를구한다' The Children 구한다'save' 이름 그대로 아이를 위한 비정부기구 이다

3.2.2. 국제 엠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 (보람)

3.2.2.1. 국제 엠네스티:인권 침해나 양심수 석방 등을 위해 노력하는 비정부기구입니다. -김보람

3.2.3. **한국해비타트** (김윤서)

3.2.3.1. 하는 일: 국제 주거복지 이익을 추구하지 아니하고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로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을 위해 집과 마을을 짓고 희망을 전하고 있습니다. ‘집’은** 가난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자 한 가족을 위한 따뜻한 보금자리입니다.**

3.2.4. **그린피스** (나윤)

3.2.4.1. 1971년 설립된 국제 환경보호 단체로서 핵실험 반대와 자연보호 운동 등을 통하여 지구의 환경을 보존하고 평화를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3.2.5. WWF(세계자연기금) (주하)

3.2.5.1. 하는 일:자연의 보존과 회복을 위해 각국의 사람들이 협력하는 단체이다. 또는 동물들의 멸종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비정부 기구이다.

3.2.6. 국제 엠네스티 (유정)

3.2.6.1. 사람들의 인권침해를 예방하며 인권 침해 사례들을 조사하거나 알린다.

3.2.7. 국경없는 의사회 (해인)

3.2.7.1. 전쟁,재해,전염병 등으로 다친 사람들을 치료해주고 보호해주는 일을 한다.

3.2.8. 굿네이버스 (찬용)

3.2.8.1. 굿네이버스가 하는 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세계 여러 아이들을 보호하고, 돕습니다.

3.2.9. ican (핵무기 폐기 국제 운동) (건하)

3.2.9.1. 1) 핵무기의 위험성을 알림 2) 핵무기와 관련된 모든 것을 반대

3.2.10. **국제구조기구** (재훈)

3.2.11. **옥스팜** (도현)

3.2.11.1. 불평등하고 불공정한 빈곤 해결과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긴급 구호 및 국제 개발 등 인도주의적 활동을 합니다.

3.2.12. 유니세프 (윤슬)

3.2.12.1. 1946년 12월 유엔에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전쟁 아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 입니다.

3.2.13. 기아 대책 (지환)

3.2.13.1. 1989년부터 국내외 빈곤 문제를 해결한다.

3.2.14. 지뢰 금지 국제 운동 (윤재)

3.2.14.1. 사람들에게 지뢰의 위험성을 알리고 지뢰 제거 및 지뢰 피해자의 인권을 보호 하고 있다.

3.2.15. 세계 무역 기구[WTO]

3.2.15.1. 나라와 나라 사이에 경제 분쟁이 일어나면 판결을 내리고 감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3.2.16. 녹색연합 (박지호)

3.2.16.1. 환경보호를 위한 활동을 주로 하고 있으며 우리의 자연을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린다.

3.2.17. **국제 구조연맹**(건영)

3.2.17.1. **국제구조위원회**는 가장 열악한 환경에 있는 사람들의 생존과 회복을돕고, 삶을 재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의료, 안전, 교육, 경제적 안정과 권리 증진의 영역에서 지속적인 도움을 준다.

3.2.18. 월드 비전 (승민)

3.2.18.1. 월드 비전은 전쟁으로 고통받는 고아들를 위해 여러가지 사업(3대 사업:개발 사업.긴급구호 사업.옹호 사업)을 하고 기부도 하며 고통받는 고아들이 없도록 노력하고 있다.

3.2.19. CARE - 국제 원조 구호 기구 (현서)

3.2.19.1. CARE의 목적은 구제품을 전란국이나 개발도상국의 개인 또는 단체에 증여하는 데 있고, 품목은 주로 식량이지만, 의류 ·문방구 ·의료품이나 산업기구에까지 미치고 있다

3.2.20. 어린이 건강 지킴이 (정린아)

3.3. 국가

3.4. 개인

4. 인물

4.1.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일을 하였습니다. 그녀는 이곳에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음식, 치료,교육을 돕고 아픈 사람들의 마지막 순간까지 위로를 주는 일을 하였습니다 그녀는 병든 사람들을 돕는 병원을 건설하고, 환자들과 장애인들을 돕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가난한 사람들의 교육을 위한 학교를 세웠습니다.**

4.1.1. 정린아 **<마더 테레사**

4.2. 조디 윌리엄스 (현서)

4.2.1. 지구상에 있는 모든 지뢰가 사라지길 바라며 지뢰 금지 국제 운동(icbl)을 만들었다

4.3. 마틴루터킹 (태연)

4.3.1. 인종차별에 부당함을 알고 인권 운동을 한 분이다. 흑인 차별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하였다.

4.4. 박선영 (윤도현)

4.4.1. 전쟁으로 다친 시리아 사람들을 치료하고 감염을 막을 수 있는 수술실을 만들었습니다. 일이 힘들고 위험할 때도 있지만, 사람을 살리는 일이라 팀 사람들 모두 불평하지 않아요.

4.5. 왕가리 마타이 (김윤서)

4.5.1. 그린벨트 운동을 통해 아프리카의 사회·경제·문화적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도움을 주었다.

4.6. 안중근 (찬용)

4.6.1.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해 대한 제국의 평화를 만들었다.

4.7. 자네라 (해인)

4.7.1. 세이브 더 칠드런에서 난민 캠프의 아이들이 안전하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돕는다.

4.8. 알베르트 슈바이처 (윤재)

4.8.1. 슈바이처는 병든 흑인들을 위해 아프리카로 건너가 사랑의 의술을 펼쳤다. 슈바이처는 인류의 사랑과 봉사정신과 가치있는 삶이 무엇인지를 알려줬다.

4.9. 김대중 대통령 (박주하)

4.9.1. 1)우리나라 통일을 위해서 매우 노력하였다. ㄴ남북정상회담 이뤄내셨음 ㄴ금강산 관광과 이산가족 상봉을 하셨음 2) 외한위기(IMF)를 극복하셨다.

4.10. 말랄라 유사프자이 (주빈)

4.10.1. 말라라 유사프자이는 탈레반의 위협 속에서도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노력한 여성이다 그녀의 활동은 전 세계 여성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공로를 인정받아 많은 상을 받았습니다.

4.11. 타우왁쿨 카르만 (유정)

4.11.1. 1) 예멘의 대통령이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하자 예멘민주화 시위를 일으켰다. 2) 예멘 여성의 인권신장을 위해 비폭력 시위를 일으켰다.

4.12. 유관순 (승민)

4.12.1. 일제로 부터 나라를 되찾으려고 독립운동을 하셨고 고문을 받고 감옥에 가서 감옥 안에서도 독립의 의지를 잊지 않으셨다.

4.13. 알프레드 노벨 (박건영)

4.13.1. 알프레드 노벨은,당시 철도를 만들때 사용했던 폭약의 재료인,'니트로글리세린'이라는 폭발성물질으로 화약 을 만들었는데, 니트로글리세린은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보관상자에 톱밥을 가득 채워넣어도 폭발사고가 많이 발생해서 노벨도 이때문에 자신의 동생을 일었다. 발명 계기:어느날 노벨은 규조토에 니트로 글리세린이 '규조토'(화석으로 이루어진 퇴적물)에 니트로글리세린이 스며든것을 보고 그것으로 위험을 무릎쓰고 비율을

4.14. 나세르 (박건하)

4.14.1. 나세르 씨는 시리아 난민들에게 따뜻한 식사를 나누어주십니다. 나세르 씨는 이 일에 자부심을 느끼신다고 하셨습니다.

4.15. 에리히 프리드리히 (윤슬)

4.15.1. 인권을 증진하고 세계평화를 위해 시위한다

4.16. 간디 (박지호)

4.16.1. 민주의 독립의 위해서 사티아그리스 사상에 입각하여 평화적으로 추진하였다 비폭력 무저항주의는 인류의 역사에 길이 남을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4.17. 니혼 히단쿄 (김동환)

4.17.1. 니혼 히단쿄씨는 일본 히로시마 원자폭탄 피해자다 그는 핵폐기물을 페기했다

4.18. 나르게스 모하마디 (김나윤)

4.18.1. 1) 이란의 여성 인권운동을 이끌었다. 2) 민주주의, 사형제 반대 등의 운동을 이끌었다.

4.19. 이태석 (지환)

4.19.1.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사제가 되었으며 아프리카 수단에서 병원과 학교를 설립하여 원주민을 위해 헌신하였다.

4.20. 박은식

4.20.1. 대동교을 창건했고 신학혁명당을 만들어 항일운동을 함

5. 3) 영토

5.1. 포클랜드 분쟁

5.1.1. **포클랜드 분쟁(1982.4.2~1982.6.14)** **-원인:** 당시 **영국**의 국왕이였던 **마거릿 대처는** 지지율이 많이 떨어지고 있던 상황이였고, **군사 쿠데타로** 인해 혼란으로 뒤덮인 **아르헨티나**속에서 정권을 잡게 된 **갈티에리**도, **민주화 운동으로** 인해 지지율이 많이 떨어지고 있었습니다. 그 둘이 지지율을 높이기 위해 선택한 곳이 **포클랜드**였던 것이죠. **-과정:** 처음에는 서로 비등비등하게 겨루었지만, 영국의 잠수함인 **컨커러 잠수함이** 아르헨티나의 함선인 **벨그라노 함선**을 침략하며 승기가 점점 영국의 쪽으로 돌아갑니다. 결국 포클랜드가 영국의 손에 넘어가며, **마거릿 대처의 지지율**은 하늘 끝까지 올라가고, **갈티에리의 지지율**은 바닥으로 나락을 가며 전쟁은 2달만에 마무리 됩니다. **-느낀 점:** 지지율을 목표로 이런 전쟁을 벌인 두 나라가 정말 한심하게 느껴졌습니다. **-출처:https://www.youtube.com/watch?v=dvIIvVC92Lk **

5.2. 센카쿠열도 분쟁

5.2.1.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댜오위타이) **분쟁**(1992~현재)** **-원인:**대만독립을 이루고 싶어하는 정치인들이 일본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통해 중국을 견제하려 하기 때문 **-과정:**센카쿠 열도 분쟁은 일본, 대만, 중국의 영토 분쟁으로 각각 주장이 다르다. **-결과:**아직 분쟁이 끝나진 않았지만,현재까지 센카쿠 열도의 실효적 지배권은 일본이 소유하고 있다. 일본의 주장은 1884년 일본의 사업가 '고까다 스시도' 라는 사람이 먼저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댜오위타이)를 발견했고 1895년 일본의 영토로 편입했으니 일본 땅이라는 주장이고, 중국의 주장은 1403년,중국 명나라의 '순풍상송'이란 책에선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댜오위타이)가 이미 언급 되었고 청나라의 지도와 19세기 유럽의 지도에도 중국의 영토라 나와있으며 청일 전쟁때 일본이 타이완만 뺏어가야하지만 타이완과 함께 댜오위다오 까지 뺏어갔으니 중국의 땅이란 주장이다. 대만의 주장은 중국이 타이완과 댜오위다오를 함께 뺏어갔으니 타이완과 함께 움직였다는 뜻이고, 댜오위타오(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와 대만이 가장 가까우니 대만의 땅이라는 주장이다.(사실상 중국 주장에 숟가락 얹은것이다) **-느낀 점:**고작 조금의 땅을 위해 왜 저러나 싶기도 했고, 우리나라와 일본의 독도 분쟁과도 비슷해보였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cEd-BLHiFR8

5.3. 우크라이나 전쟁

5.3.1. **우크라이나 전쟁(2014년2월~현재)** -원인:러시아가 소련으로 바뀌면서 우크라이나가 소련 소속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우크라이나가 소련에 반항을 해서 사이가 악화되었다. 소련이 붕괴되어 다양한 국가들로 나눠졌다. 그 중에서 러시아가 땅이 비옥한 우크라이나의 땅을 빼앗으려고 전쟁이 일어났다. -과정: 1922년 우크라이나가 소련에 편입됨 1932~1933년 스탈린이 우크라이나 작물을 과하게 채취하여 우크라이나는 대기근을 겪음(대기근:인간의 극심한 영양실조 상태) 1991년 소련 붕괴-우크라이나가 독립을 이룸-소련 소속국이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에 가입함- 크림반도 합병(러시아) -돈바스 전쟁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 2014년 크림반도 병합-현재 -느낀 점:인간의 욕심은 큰 재앙을 불어오는 것 같다. -출처:https://www.youtube.com/watch?v=Lc2gyzEeBQA

5.4. 북아일랜드 분쟁

5.4.1. **북아일랜드 분쟁 (1542 ~ 1998.4.10)** -원인: 헨리 8세가 죽고 영국은 아일랜드를 완전히 집어삼켰다. 그 후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아일랜드의 국왕이었던 제임스 1세는 아일랜드의 게일족 문화가 마음에 들지 않아 영국의 문화로 덮으려고 아일랜드에 스코틀랜드인을 이민보낸다. -과정: 제임스 1세는 대량의 스코틀랜드인들을 아일랜드로 이민보냄. 스코틀랜드인들은 빠르게 영국의 문화로 발전. 1658년 아일랜드에서 반란을 일으킴. 크롬웰 1세는 반란을 일으킨 아일랜드에게 토지 강탈 정책을 실행했다. 이 때 많은 아일랜드인들을 죽이고 토지도 빼았아 스코틀랜드인들에게 줌, 아일랜드는 북쪽이 땅이 비옥한데 그 곳에 스코틀랜드인들이 자리를 잡았으니 서쪽으로 밀려난 아일랜드인들은 척박한 환경이 구성됨. 비옥한 땅을 받은 북아일랜드는 빠르게 발전됐다. 1800년 연하 법이 생기게되고 아일랜드는 강제로 영국 땅의 일부가 됨. 1845년 아일랜드의 대기근 이후 아일랜드 전역에 영국에 대한 복수심이 싹틈. 아일랜드의 의회당이었던 찰스 스튜어트 판넬은 지속적으로 아일랜드의 자치를 요구. 그래도 영국은 아일랜드의 이런 부탁을 들어줄 생각도 하지않았다. 결국 시간만 끌어 전쟁을 하게 됨. 그 때 뜻밖의 문제가 발생했는데 북아일랜드는 아일랜드가 독립해도 끝까지 영국에 남아있겠단 것이었다. 그 후 1919년에 전쟁이 발발함. 아일랜드 독립전쟁을 하고 난 후. 1921.12.6 양국은 휴전협정에 합의. 영국은 아일랜드의 자치를 받아들임. 그런데 북아일랜드는 이 자치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대. 이 때 영국은 지금이다, 하며 조약서에 북아일랜드는 영국이 좋다고 하니 영국의 땅이라고 쓱 끼워넣음. 아일랜드는 이 불평등한 조건에도 망설임. 그럼에도 아일랜드는 "이 조약을 받아들이자." 라는쪽으로 의견이 몰림. 조약을 받아들이자. 라는 쪽으로 의견이 몰렸음에도 반대하는 세력이 나타났는데 아일랜드의 자치전쟁을 이기게 도와준 세력인 IRA(아일랜드 공화국군)이었다. 이유는 북아일랜드를 영국에 때어주면 영토에 싸움이 일어날 것이라며 조약에 대해 반대 한 것이다. 그래도 자치 기회가 많지않아 아일랜드는 이 조약을 받아들임. 마음에 들지않았던 IRA는 내전을 발발. 결과는 아일랜드 자유국이 이겼고 아일랜드 공화국군은 괴멸 상태까지 가버림. 아일랜드 공화국군이 조약에 대한 시위로 잔혹하게 북아일랜드의 가톨릭 신도들을 잔인하게 사살한 1972.1. 30 피의 일요일 사건이 발생 이 때 많은 인구가 죽음. 하지만 시위가 계속 될 수록 아일랜드 공화국군은 영국,북아일랜드에게 테러리스트 단체로 지목이 됩니다. 이 때 아일랜드 자유국은 대표로 나가 인구들이 더 이상 희생 당하지 않게 평화를 이루자고 영국과 논의함. 이렇게 되므로 1998.4.10에 벨퍼스트 협정을 맺었습니다. 이 때 북아일랜드와의 통일도 의논을 했는데 양국이 모두 통일을 찬성할 때 통일을 하기로 결정을 하여 이 분쟁이 끝납니다. -느낀 점: 솔직히 북아일랜드의 생각도 이해가 간다. 왜냐하면 북아일랜드를 키워준 것도 영국,북아일랜드로 스코틀랜드로 이민가게 해준 것도 영국이기 때문이다. 당연히 자신의 나라를 키우게 해준 나라에 남고 싶은 것도 어쩌면 자연스러운 것 같기 때문이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SURIlNm_LGo

5.5. 카슈미르 분쟁

5.5.1. **카슈미르 분쟁(1947~2023)** -원인 : 영토 분쟁(카슈미르) -과정 : 1947년에 시작하여 종교로인해서 카슈미르라는 땅에 사는 사람들을 서로 자신들의 종교를 믿게하려고 인도와 파키스탄이 땅을 차지하려는 분쟁이 75년간 지속되었다. (결과는 분쟁이 최근에 끝나 아직 공식적으로 전달된 소식은 없음 -느낀 점: 인도와 파키스탄이 서로 종교를 중요시하게 생각하는것은 알고있었지만 두 국가 모두 핵보유 국가여서 조금 무서웠고 이것으로 인해 나는 정말 운이 좋게 태어났다는 것을 알았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i0ObTx5IbkM

5.6. 중국-소련 분쟁

5.6.1. **중국-소련 영토분쟁(1964년~1969년)** -원인: 영토분쟁 중국 소련 -과정:때에 러시아와 불평등조약으로서 얻어온 땅을 중국이 소련에게 돌려줄 것을 요구해 분쟁이일어났다 뺏았긴 땅으로는 우수리 강이나 아무르강에 있는 섬들 및 신장웨이우얼 자치구 고원등이있다 -느낀 점: 전이 일어나면 3차 대전 까지 번질수 있었지만 다행이전쟁이 안나서 다행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XCCKU1w1DVM

5.7. 터키 - 그리스

5.7.1. 터키 - 그리스 (1821~1912) 원인: 세금 많이 내라 하고 힘 센 애들 데려다 자기네 군인들로 만들어서 과정: 1821년 그리스가 화나서 오스만과 싸우기 시작했다. 오스만은 싸움에서 이기고 있으니 이대로 그리스 먹자! 해서 이집트도 불러와 싸우기 시작했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가 그냥 그리스 자치국가 하자고 했는데 거절해 바다에서 싸웠다. 연합군의 승리로 그리스는 오스만 자치국가가 되었다. 그리스는 남은 섬들도 먹고싶어서 전쟁도 참여해 바다에 있는 섬 전부를 먹고 끝이났다. 느낀 점: 섬들 때문에 굳이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싶다. 하지만 이건 오스만이 잘못했다.

5.8. 남중국해 분쟁

5.8.1. **남중국해 분쟁(1939~현재까지 진행중)** -원인: 영토 분쟁의 근본 원인은 1939년 5월에 당시 일본 제국이 파라셀 제도와 스프래틀리 제도를 점거하면서 시작되었다. -과정: 우선 남중국해는 8개의 나라가 접해있는 바다이다. 그런데 중국이 남중국해는 중국의 영해이다 라고 우겨 접해 있는 나라와 분쟁이 일어났는데 2014년에는 중국이 파라셀 군도에 석유 플랫폼 하나를 만들었다. 이에 항의하며 베트남이 초계함을 보내서 장비 철수를 요구했는데, 중국은 베트남 선박을 들이받았고, 결국 양측간의 대치 상황이 벌어졌다. 2015년 10월 27일에는 미국의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라센함이 중국 인공섬 근해에 진입하면서 중국 군함과 대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결과: 이 사건으로 베트남에서는 대규모 반중시위가 일어났으며, 빈즈엉 성 공단에서는 시위가 폭동으로 이어져 외국 기업들이 다수 피해를 보았다. 하지만 캄보디아는 끝까지 중립을 지켰다. -느낀 점: 남중국해는 8개나 나라가 접해있어서 이런 분쟁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았고 이 활동을 하면서 여러나라들의 주장이나 생각을 알아서 좋았다. 그리고 캄보디아가 끝까지 중립을 유지하는게 멋있었다. 이 분쟁은 아직까지 계속되고 있지만 언젠간 좋게 끝났으면 좋겠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53740&cid=42147&categoryId=42147

6. 문제 (분쟁)

6.1. 1) 종교

6.1.1. 필리핀 내전

6.1.1.1. **필리핀 내전 (1946.8.30. ~ 1947.10.25.)** -원인: 로마 카톨릭과 이슬람교의 갈등으로 분리독립을 하기로 선언하려 했다 -내전 과정: 필리핀은 로마 카톨릭 국가여서 전국민의 85% 이상이 같은 종교를 가지고 있지만 민다나오는 이슬람교를 믿는 지역들이 존재하죠 그러나 정부정책 경제정책에서는 로마 카톨릭 위주로 운영되고 있기에 이슬람교를 믿는 지역들은 항상 소외를 당했습니다 그래서 민다나오는 분리독립을 하려 하지만 필리핀 정부는 그 독립을 반대합니다 그 이유는 필리핀에서 2번째로 큰 섬이고 그리고 지하자원과 비옥한 토지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내전 결과: 전쟁으로 인해 몇십만명의 사상자를 냈지만 끝내 평화 체결과 필리핀평화협정을 맺게 됩니다 -느낀 점: 어렸을때는 전쟁이라는 단어를 가볍게 생각했지만 지금인 6학년이 되니 전쟁이 얼마나 슬플지 저는 너무 무섭습니다 -출처: https://kin.naver.com/qna/detail.naver?d1id=11&dirId=110402&docId=238235558&enc=utf8&kinsrch_src=pc_nx_rra&qb= 7ZWE66as7ZWAIOuCtOyghCDsm5Dsnbg%3D&rank=2&search_sort=0&section=kin.qna_ency_cafe&spq=0

6.1.2.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6.1.2.1.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1948~ )** **-분쟁의 원인**:이스라엘에서 유대교를 믿는 사람들과 팔레스타인에서 이슬람교를믿는데 예루살램을 놔두고분쟁을 하고 있는 것이다. **-분쟁시기**:1948년 **-분쟁의 과정**:이스라엘 건국 전후 1946년 대부분의 땅은 팔레스타인 인이 살고 있었다. 하지만 유대인들이 비집고 들어오면서 난민으로 쫓겨나게 된다. -분쟁의 결과:없음 -느낀 점:21세기에도 화해를 하면 돼지만 그렇지 못하고 **국민들이 고통 받는 게** 정말 안타깝다. 출처:https://www.youtube.com/watch?v=FMdZcO14i-s

6.1.3. 비아프라 전쟁 (나이지리아 분쟁)

6.1.3.1. **비아프라 전쟁(나이지리아 분쟁)(1967 ~ 1970)** -분쟁의 원인: 나이지리아에 남쪽에 위치한 이그보족은 기독교를 믿어 부유해졌지만 북쪽의 하우사족은 이그보족에 이해 배척을 받았다. 그리고 나이지리아의 수많은 사람들의 종교적 긴장 상태가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전에도 카노폭동(나이지리아 남, 북 간의 싸움) 때문에 많은 이그보족이 살해당해서 남, 북간의 갈등이 높아졌다. <비아프라: 나이지리아 안에 있는 이그보족을 주체로 한 국가> -분쟁의 시기: 1967년 ~ 1970년 -분쟁의 과정: 1. 기독교를 믿은 종교인 이그보족과 기독교를 믿지 않은 종교 하우사족의 싸움 2. 하우사족이 싸움을 잘하는 민족인 '전투민족'이 되어서 나이지리아의 군대 절반을 가져갔다 3.전쟁이 길어지자 나이지리아에선 희생자들이 빠르게 속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비아프라 전쟁의 참혹함은 전세계 여러 언론을 통해 보도되었고 죽어가는 부상자들의 참상은 국제사회의 큰 동정심을 불러일으켜 수많은 국가들로부터 음식과 약을 지원받게 되었다고 한다. (이런 사회적, 종교적인 이유로 싸움이 난 것으로 밝혀져있다.) -분쟁의 결과: 비아프라에 남아있던 군인들은 전투를 중단하고 나이지리아의 수도 라고스로 이동하여 대통령에게 항복하고 비아프라의 복귀를 선언했다! -느낀 점: 한 종족과 종족의 갈등으로 생긴 사소한 일이 전쟁으로 간 것이 의아했다. 이 일 때문에 많은 사람이 죽고 희생된 생각을 하니 마음이 좋지 않았다.ㅜㅠㅠ -링크: https://youtu.be/NWH2FdVR3Us?feature=shared

6.1.4. 아프가니스탄 분쟁

6.1.4.1. **아프가니스탄 분쟁(2001 ~ 2021)** -원인: 종교적 문제, 테러, 정치적 보복, 경제악화 -분쟁과정: 아프가니스탄의 조직인 **텔레반**이 **미국에 테러**를 하고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 쳐들어가 전쟁을 시작함 미국이 이라크에 전쟁을 하러간 틈을 타 텔레반이 모든 **정권을 차지**하고 여성들과 아이들의 대한 인권을 무시함, 그러다가 **오사마 빈 라덴**이 잡히며 사형당하고 미국은 철거를함 -느낀 점: 괜히 테러를 하고 정권을 차지해서 이렇게 됬다는게 안타깝고 차별받은 여성과 아이들이 불쌍했다. -출처: https://youtu.be/CBKFnFHR_c4?feature=shared

6.1.5. 소말리아 내전

6.1.5.1. **소말리아 내전** (2009년 ~ ) -분쟁 원인: 이슬람교와 기독교 간의 충돌 -분쟁 시기: 2009년 ~ -분쟁의 과정 1차 내전과 소말리란드'의 독립 2차 내전과 '알 샤바브'의 등장 테러와의 전쟁 : 내전 소말리아 해적 문제 -느낀 점:한 PD분이 아이들에게 학교에 **가고싶지 않냐고** 물었더니 **학교를 본적이 없어 대답을 못하는 아이**들을 보고 안타까운 감정이 느꼈고, 총소리를 매일 듣는다고 생각 하니 무섭다고 생각 한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7vR74rmP1I0 ) - 영상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53780&cid=42147&categoryId=42147 ) - 네이버 지식백가

6.2. 2) 자원

6.2.1. 멕시코 분쟁

6.2.1.1. **멕시코 분쟁(1980~ )** -원인: 멕시코, 마약 케르텔 분쟁으로 사회적 혼란 격화되고있다. -분쟁 시기: 1980년대~ -분쟁의 과정: 2006년 출범한 칼데론 대통령은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강경 진압에 나서면서 정부 대 마약 카르텔 간의 분쟁이 격화되었고 수만 명에 달하는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또한, 정부의 강경 대응에 따라 주요 카르텔들이 해체· 분열되면서 신흥 세력들 간의 영역 · 이권 다툼으로 인한 폭력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느낀 점: 최근에도 32명이 돌아가셨다고 들었는데 너무 무섭다는 생각이 든다. -출처:https://www.youtube.com/watch?v=S8sTejpmJOE,https://www.youtube.com/watch?v=U_luQVD6CCA&t=436s

6.2.2. 이라크 전쟁

6.2.2.1. 걸프전쟁, 이라크 전쟁 -기간:걸프전쟁1990~1991,이라크 전쟁 2003.3 ~ 2011.12 -과정:이라크의 대통령이었던 사담 후세인(Saddam Hussein ,이라크 공화국 5대 대통령)이 석유생산량이 25%인 사우디와 대적하기위해 1990년 8월 2일에 쿠웨이트를 침공한다. 이를 참을수없던 당시 미 대통령 조지 H.W.부시(George H.W. Bush 미국 41대 대통령)는 이라크를 침공한다. 승리한 미국은 사담 후세인을 죽이지 않았다(이유:사담 후세인 덕분에 이라크의 체제 자체는 안정적이었고 미국의 입장에서 미국의 입장에서 나라를 완전히 재조립하는 것은 시간과 돈이 너무 많이 들었기 때문에) 그대신 이라크의 무기 제한을 강력히 걸어 억제하면 쉽게 이라크를 통제할수있다고 여겼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미국의 제재하에 놓인 이라크였다. 이대로 10년후 2001년에 조지 w. 부시(George W. Bush 미국 43대 대통령)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무렵에 미국과 이라크는 동시에 상황이 악화된다. 미국은 이전에 걸프전 승리,소련과의 냉전 승리를 했지만 조지 W. 부시 취임 시기에 경제 성장 둔화 ,재정 적자,무역수지적자에 빠지기 시작했다. 그와중 이라크의 사담후세인이 빈틈을 노리고 각종무기 제한을 어기며 군비도 늘린다 2001년 9월 11일 에 최악의 테러가 발생한다 (9.11테러 아프가니스탄에 있는 테러세력이 미국 항공기를 납치해 쌍둥이 빌딩에 충돌해 자살 테러를 하였다 *자살테러:자신의 몸에 폭탄을 설치해 스스로 자기목숨을 끊는 동시에 남을 살상하거나 구조물을 파괴하는 폭력행위) 테러 한달 뒤인 2001년 10월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고 두달만에 테러세력 정권을 무너뜨렸다 그리고 후세인이 핵무기와 생화학 무기같은 대량 살상 무기(WMD) 개발을 거의 다 했다는 말과 미국에 테러를 가한 핵심 세력이 후세인과 연결되어있다는 정보가 들려온다 이에 이라크를 먼저 침공하기로하고 전쟁준비를 시작한다 전쟁 명분으로 1) 이라크의 대량 살상 무기를 모두 다 폐기한다 2) 후세인을 대통령의 자리에서 나오게하고 이라크에 민주정부를 수립한다 2003년 3월 17일 최후통첩을 남기고 3월 20일 이라크를 침공한다 걸프 전쟁에선 50만 군사가 동원되었지만 이라크 전쟁에서는 미국의 내부 사정으로 25만 군산만 동원되었다 하지만 이라크의 병력은 42만 군사가 동원 되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전사자는 139명,부상자는 548명뿐이었고 이라크는 전사자가 무려 1만여명으로 미국의 대승이었다 그리고 2003년12월 14일 후세인이 체포되고 2006년 12월 30일 처형된다 하지만 2003년 미군은 게릴라 부대와 테러로 인해 추가로 4000명이 넘는 전사자를 내게 된다 그리고 미국은 전쟁이 끝날때까지 약 5조달러를 지출해 국가 재정이 심각하게 손상되었다 미국이 전쟁 이라크의 대량 살상 무기를 모두 다 폐기하려고했지만 조사했지만 생화학 무기와 대량살상 무기는 없었다 분명 이라크에서망명 (망명:위험이 있는 사람이 이를 피하려고 외국으로 몸을 옮기는 것)해온 기술자들에게 이야기 들었지만 그들의 이야기는 거짓이었다 세계 미국 지지율은 떨어졌다 하지만 미국에겐 두번째 명분이 있었습니다 바로 후세인을 쳐내고 이라크에 민주주의 정부를 세우는 것 이었다 쉬워보일수있지만 바트당 세력이 권력을 잡고 있어 바트당 (시리아와 이라크의 정권을 잡은 정당 )세력을 제거한다면 이라크 전체가 무너질수있다그렇기 때문에 어렵지만 미국은 바트당을 2003.5 해체했다 느낀점:이긴 미국이 참 대단하다 출처:https://m.youtube.com/watch?v=9v-VAvW4XrE

6.3. 4) 역사

6.3.1. 예멘내전

6.3.1.1. **예멘내전 (2015.3.22.~진행중)** -원인: 예멘 민주화운동 이후 후티 반란 -기간: 2014년 9월 16일 ~진행중 -장소: 예멘 전역 사우디아라비아 남부 -과정:3월22일까지 타이즈 주와 모카 라이즈 등이 후티 군에게 함락되었고 그들은 아덴 외곽지역까지 진격하여 하디 정부를 위협했다 -결과: 예멘내전은 최고정치회의 및 후티 세력과 하디 정부 및 남부 과도위원회 간의 대립 전쟁이다.남부의 부리자들과 압드라보 만수를 하디를 추종하는 아덴 기반 세력이 후티 및 최고 정치회의 의장인 마흐디 알마스 하트의 병력과 충돌하고 있다 느낀점:전쟁이 많아지고 계속 싸움도 계속해서 끝나지 않았다는게 놀랍다 -출처 https://namu.wiki/w/%EC%98%88%EB%A9%98%20%EB%82%B4%EC%A0%84 https://ko.wikipedia.org/wiki/%EC%98%88%EB%A9%98_%EB%82%B4%EC%A0%84_(2014%EB%85%84~%ED%98%84%EC%9E%AC)

6.4. 5) 민족

6.4.1. 말리 내전

6.4.1.1. **말리 내전(2012.1 ~ 현재)** -원인: 투아레그족의 반란으로 말리 북부지방의 도시가 투아레그족 반군에게 넘어간 것으로 시작한다. -과정: 원래는 서로 싸우고 있었지만 다른 나라들이 개입을 하게 되었다. 전쟁이 시작된지 1년뒤 말리 정부는 북부를 얻기 위해 외국의 군사적 도움을 요청했다. 그 나라가 프랑스이다. 2013년 1월 11일 프랑스군이 이슬람주의자들을 상대로 작전을 시작했다. 아프리카 연합에서 온 다른 군대들도 그 이후 파병되었다.2월 8일 이슬람주의자들이 점령한 영토는 말리군이 많았고, 국제동맹군의 도움이 이에 큰 기여를 했다. 정부와 투아레그 반군 사이의 평화협정이 2013년 6월 18일 공식적으로 조약을 맺게 되었지만, 2013년 9월 26일 반군은 평화협정을 끝내고 정부가 휴전에 대한 약속을 어겼다고 주장했다. 프랑스군이 철수를 예정 중이지만 전투는 이어지고 있다. -느낀 점: 내가 태어나기전에도 전쟁이 시작되었는데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는게 놀랍다. -출처: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UBgcPIBv9T0

6.4.2. 시리아 내전

6.4.2.1. **시리아 내전 ( 2011. 3.15 ~ 진행 중)** -원인: 독재 정권에 대한 저항과 민주화 요구 -과정: 2011, **아사드 정부의** 무력 진압 2012, **반군의** 세력 확장 2013, **시아파의 조직 헤즈볼라** 시리아 내전에** 개입** 2014, **이슬람 국가의** 등장과 영토 장악 2015, 러시아의 개입 2016, 정부군이 알레포 **재탈환**, 반군의 후퇴 계기 2017, 무자비한 공세로 인해 이슬람 국가 **세력 악화** 2018, **휴전 성사** 2023, 휴전 붕괴, **정부군 반군에 대한 공격 재개** -느낀 점: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인명피해가 많이 일어나 속상하다. -출처: 유튜브:https://www.youtube.com/watch?v=5UEzSNdXM50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8B%9C%EB%A6%AC%EC%95%84%20%EB%82%B4%EC%A0%84#s-2.4

6.4.3. 유고슬라비아 내전

6.4.3.1. **유고슬라비아 내전(1991.3.31~2001.11.21)** -원인: 세르비아 민족주의와 크로아티아 민족주의 간의 대립 -과정: 1991.3.31.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1991.6.27. 솔로베니아 독립 전쟁 1992.4.6.보스니아 전쟁 1998.2.28. 코소보 전쟁 1999.12.크레셰보 계곡 내전 2001.1.22.북마케도니아 반란으로 약10년간 총6개의 전쟁 또는 내전을 했다. -결과: 마케도니아, 크로아티아, 솔로베니아, 보스니아의 독립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해체 -느낀 점: 원래는 한 나라였지만 여러 개의 나라로 나눠어진 것이 우리나라 같아 마음이 거북하다. -출처: https://namu.wiki/w/%EC%9C%A0%EA%B3%A0%EC%8A%AC%EB%9D%BC%EB%B9%84%EC%95%84%20%EC%A0%84%EC%9F%81

6.4.4. 나미비아 분쟁

6.4.4.1. **나미비아 분쟁(1966~1990)** -원인: 나미비아의 독립 문제를 둘러싼 원주민 독립단체인** 남서아프리카인민기구와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 간의 대립 -분쟁 과정: 나미비아는 1884년 독일이 **보호령으로 편입하여** 통치해 오다가 1915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침공하고 승리** 해서 1920년 남아공의 **위임통치령이** 됐다. 1958년 오반보족을 중심으로 한 무장조직이 **남서아프리카인민기구를 설립** 했고, 1966년 10월부터 본격적인 **대남아공 독립투쟁** 을 개시했다. -결과: 나미비아는 **나미비아 공화국** 이라는 이름으로 독립. -느낀 점: 독립이라는 것이 좋고 기쁘지만 어려운 것이라는게 느껴졌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53763&cid=42147&categoryId=42147 **

6.4.5. 미얀마 분쟁

6.4.5.1. **미얀마 분쟁(1962년~현재)** -분쟁의 원인: 11월에 한 선거가 부정선거라며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켰다. -분쟁의 과정: 미얀마 군은 군부에 반대하는 280명을 사살했으나 이 과정에서 카친족 민간인 1,677명이 사망하고 100,000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2021년에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키자 카친족과도 갈등이 심해져 다시 내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느낀점: 아무죄없는 민간인을 죽이고 난민이 생기게 되었다는 점이 마음아프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C%96%80%EB%A7%88_%EB%B6%84%EC%9F%81

6.4.6. 콜롬비아 분쟁

6.4.6.1. **콜롬비아 분쟁 (1964년 ~ 현재)** -원인: 콜롬비아 정부, 범죄조직, 등이콜롬비아 영토 내에서 각자의 영향력을 확대시키기 위해 -과정: 군사조직 모두 마약 밀매 및 테러 혐의를 받고 있으며, 이 분쟁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권력은 셀 수 없이 많은 인권 침해를 저질렀다. -결과:1958년에서 2013년 사이에 이 분쟁으로 220,000 여명이 죽었으며 그 중 177,307 명이 민간인이고 전투원은 40,787 명에 불과했다. 또 1985년에서 2012년 사이에 5백만 명 이상의 민간인이 삶의 터전을 버려졌다. -느낀 점:220,000여명 중 아무 죄가 없는 민간인이 177,307명이나 죽어서 매우 안타까웠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BD%9C%EB%A1%AC%EB%B9%84%EC%95%84_%EB%B6%84%EC%9F%81

6.4.7. 르완다 내전

6.4.7.1. **르완다 내전(1994.4.7. ~ 7.15.)** 원인:대통령 암살로 르완다에서 인종 학살이 시작된다. 쥐베날 하비아리마나 르완다 대통령이 탄 여객기가 격추되어 수도 키갈리에 추락했다 후투족이었던 하비아리마나는 소수인 투치족을 대표하는 혁명 그룹인 르완다 애국전선(RPF)과 위태로운 평화 협상을 진행하던 중이었다 과정:하비아리마나 암살이 투치족의 소행이라고 여긴 대통령 경호 부대가 투치족을 보이는 데로 죽이기 시작했고 끔찍한 인종 학살이 수도에서부터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정치인들과 군인들의 선동을 받은 후투족들은 투치족과 후투족 온건파들을 눈에 보이는 데로 살해했다 그 결과 약 80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 후투족 암살단은 희생자들을 큰 칼로 난도질하거나 곤봉으로 때려 죽이는 것으로 악명을 떨쳤다 투치족과 후투족 간의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에대해서 그 원인이 있었다. 학살이 더 심해지는 되는 데도 국제사회는 신경쓰지 않았다 많은 서방국가들은 UN 평화 유지군에 파병하기를 거부했다 사실 평화 유지군은 소수의 인명 피해가 나자 바로 철수해버렸다 이후 UN은 휴전협정을 시도하는 것으로 스스로의 역할을 한정해버렸다 결과:RPF가 키갈리를 점령하고 후투족인 파스퇴르 비지뭉구를 새로운 대통령으로 세운 뒤에야 학살은 종료되었다 투치족 RPF 지도자인 폴 카가메가 부통령이 되었다. 200명의 후투족은 바로 탈출하였고 이로 인해 이웃 국가들에 심각한 불안을 야기했다. 이후에도 종족 갈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느낀점: 역사를 찾아보면서 역사를 알게돼서 좋았고 다음에도 이런수업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6.5. 6) 인종

6.5.1. 보스니아 분쟁

6.5.1.1. **보스니아 분쟁(1992~1995)** -분쟁 원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부종교갈등 -분쟁의 결과: 데이턴 협정 -느낀 점: 인종청소라는 소리까지 들을 정도로 무차별하게 사람을 죽이는게 무섭다. -출처(영상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q1-jwjU4v3w

6.6. 7) 언어

6.6.1. 에티오피아 내전

6.6.1.1. **에티오피아 내전(1947.9.12 ~ 1991.5.28)** -내전의 원인 : 티그라이 지역의 정치적 소외에 대한 TPLF의 불만과 반발로 발생 -내전의 시작~끝 :1974년 9월 12일 - 1991년 5월 28일 -내전의 과정 : 20.11.4 새벽 TPLF(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연방군 기지를 습격 20.11.28. 연방군 기지를 장악하였다. 그러나, TPLF는 TDF(티그라이방위군)을 조직하고 산악전 등 게릴라전(군사목적-정치목적을 달성하려고 무력행위를 하는 것)으로 전환 -내전의 결과 : 멩기스투 정부 전복, 에티오피아 제국 멸망, 에리트레아 독립, 에티오피아 인민 공화국 붕괴, 에티오피아가 내륙국이 됨 -출처 링크: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CotraNewsDetail.do?no=191883&siteId=2 -느낀 점:내전이나 분쟁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다.

6.7. 8 ) 정치

6.7.1. 모잠비크 내전

6.7.1.1. **모잠비크 내전(1977~2002)** -내전 원인: 정부가 불평등 정책 모잠비크 때문 -내전의 시작과 끝: 1977년~2002년 -내전 과정: 내전 중 약 100만 명 이상의 모잠비크 주민들이 식량 공급 중지로 굷어죽고 500만 명의 모잠비크 주민이들 추방을 당했다. 또 병원, 철도, 도로, 학교 등 농촌 기반 시설들을 파괴하였다. 모잠비크 해방 전선과 레나모(군인)들이 소년병(만 18세 미만인 학생 군인)을 시골로 테러가 파괴하게 함 -내전 결과: 모잠비크 해방 전선과 레나모 지원이 끊기며 내전은 종료 모잠비크 교회 평의회와 이탈리아 정부의 중재를 받아 회의를 함 -느낀 점:다른 나라와 싸우는 것도 정말 힘든데 같은 나라와 싸우는 건 정말 힘들 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도 다른 나라와 싸우면 자주 마추치기는 않지만 같은 나라와 싸우면 항상 같이 있고 그리고 폭력이나, 트라우마가 생긴 사람들에게는 지옥일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AA%A8%EC%9E%A0%EB%B9%84%ED%81%AC_%EB%82%B4%EC%A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