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주 상한론

시작하기. 무료입니다
또는 회원 가입 e메일 주소
유도주 상한론 저자: Mind Map: 유도주 상한론

1. 태양병

1.1. 변증강요

1.1.1. 脈浮, 頭項强痛而惡寒

1.2. 태양경증_표증

1.2.1. 中風

1.2.1.1. 발열 한출 오풍 맥완

1.2.1.2. 표허

1.2.1.3. 계지탕

1.2.1.3.1. 주증

1.2.1.3.2. 가감증

1.2.1.3.3. 금기증

1.2.2. 傷寒

1.2.2.1. 표실

1.2.2.2. 마황탕

1.2.2.2.1. 주증

1.2.2.2.2. 가감증

1.2.3. 표실X, 표허X

1.2.3.1. 계지마황각반탕

1.2.3.1.1. 不能得小汗出,身必痒

1.2.3.2. 계지이마황일탕

1.2.3.2.1. 服桂枝湯, 大汗出, 脈洪大者, 與桂枝湯如前法. 若形如瘧, 日再發者, 汗出必解.

1.2.3.3. 계지이월비탕

1.2.3.3.1. 太陽病, 發熱惡寒, 熱多寒少, 脈微弱者, 此無陽也, 不可更汗.

1.2.4. 傳經과 不傳經

1.2.4.1. 脈若靜者為不傳.

1.2.4.2. 頗欲吐, 若燥煩, 脈數急者, 為傳也.

1.3. 태양부증_裏證

1.3.1. 축수

1.3.1.1. 通陽行水

1.3.1.2. 表裏經腑 모두 병든 것

1.3.1.3. 오령산

1.3.1.3.1. 화기행수, 통리소변

1.3.2. 축혈

1.3.2.1. 破血逐瘀

1.3.2.2. 어혈 초기

1.3.2.2.1. 태양축혈초결

1.3.2.3. 어혈 형성 이후

1.3.2.3.1. 反不結胸

1.3.2.3.2. 以太陽隨經, 瘀熱在裏故也.

1.3.2.3.3. 抵當湯

1.3.2.3.4. 熱在下焦 少腹當硬滿 小便自利

1.3.2.4. 어혈 경증

1.3.2.4.1. 少腹滿應 小便利

1.3.2.4.2. 저당환

1.4. 기타

1.4.1. 허번증

1.4.1.1. 치자시탕

1.4.1.1.1. 심중오뇌, 번민

1.4.1.2. 치자시탕 가감

1.4.1.2.1. 치자감초시탕

1.4.1.2.2. 치자생강시탕

1.4.1.2.3. 치자후박탕

1.4.1.2.4. 치자건강탕

1.4.1.3. 치자시탕 금기

1.4.1.3.1. 病人舊微溏者, 不可與服之.

1.4.2. 결흉증

1.4.2.1. 열실결흉

1.4.2.1.1. 熱邪+水飮

1.4.2.1.2. 대함흉환

1.4.2.1.3. 대함흉탕

1.4.2.1.4. 소함흉탕

1.4.2.2. 한실결흉

1.4.2.2.1. 한사+담음

1.4.2.2.2. 삼물백산

1.4.3. 심하비

1.4.3.1. 按之自濡, 但滿而不痛

1.4.3.2. 반하사심탕

1.4.3.2.1. 심하비만, 담음

1.4.3.2.2. 오심 구토, 장명, 설사, 대변불통, 맥현활, 설태 백니

1.4.3.3. 생강사심탕

1.4.3.3.1. 심하비만, 수기

1.4.3.4. 감초사심탕

1.4.3.4.1. 중초 기허, 사기 내함, 객기 상역

1.4.3.5. 대화황련사심탕

1.4.3.5.1. 열사로 기가 막힘

1.4.3.6. 부자사심탕

1.4.3.6.1. 열비증, 表陽虛證

1.4.3.7. 선복대자탕

1.4.3.7.1. 위허, 담음, 간기상역

1.4.4. 양감증

1.4.4.1. 온경, 해표

1.4.5. 온법, 청법, 보법, 사법

1.4.6. 變證

1.4.6.1. 표리선후 표본완급 조정음양

1.4.6.2. 사열이 폐를 압박하여 생긴 喘

1.4.6.2.1. 마황행인감초석고탕

1.4.6.3. 협열로 인한 하리

1.4.6.3.1. 갈근황금황련탕

1.4.6.4. 오치로 인한 허증

1.4.6.4.1. 1 심허에 의해 생긴 계종

1.4.6.4.2. 2 심허에 의해 생긴 번조

1.4.6.4.3. 3 심허에 의해 생긴 경광

1.4.6.4.4. 4 심의 양기가 허해 분돈증이 되려 하는 경우

1.4.6.4.5. 5 심의 양기가 허해 분돈증이 된 경우

1.4.6.4.6. 6 심의 양기가 허해 생긴 수기상충

1.4.6.4.7. 7 심허에 희해 생긴 동계와 맥결대

1.4.6.4.8. 8 심신쌍허

1.4.6.4.9. 9 위허에 의해 생긴 수정

1.4.6.4.10. 10 비허에 의해 생긴 번계

1.4.6.4.11. 11 비허에 의해 생긴 기체복창

1.4.6.4.12. 12 중한에 의한 토역

1.4.6.4.13. 13 토한 후의 내번

1.4.6.4.14. 14 신의 양기가 허해 생긴 수범

1.4.6.4.15. 15 신의 양기가 허해 생긴 번조

1.4.6.4.16. 16 신의 음기 양기가 모두 허해 생긴 번조

1.4.6.4.17. 17 음양양허와 음양전화

1.4.6.5. 화역으로 인한 變證

1.4.6.5.1. 태양중풍에 잘못하여 화공을 쓴 경우

1.4.6.5.2. 상한양울에 잘못하여 화공을 쓴 경우

1.4.6.5.3. 표실내열에 잘못하여 화공을 쓴 경우

1.4.6.5.4. 온병에 잘못하여 화공을 쓴 경우

1.4.6.5.5. 음허에 잘못하여 화공을 쓴 경우

1.4.7. 태양병의 유증

1.4.7.1. 온병

1.4.7.2. 풍온

1.4.7.3. 풍한습비증

1.4.7.3.1. 계지부자탕증

1.4.7.3.2. 감초부자탕증

2. 양명병

2.1. 변증강요

2.1.1. 身熱, 汗自出, 不惡寒, 反惡熱也.

2.2. 형성 원인

2.2.1. 사기를 직접 감수하여 발병

2.2.1.1. 부로 파급

2.2.1.2. 위장에 적체되어 열, 조로 변화

2.2.2. 다른 경에서 전변

2.2.2.1. 전속

2.2.2.2. 전입

2.3. 양명병의 부증과 치법

2.3.1. 양명부실증

2.3.1.1. 不更衣, 內實, 大便難

2.3.1.2. 陽明之為病, 胃家實也.

2.3.1.3. 治: 사하

2.3.2. 1 조위승기탕증

2.3.2.1. 不吐不下, 心煩者, 可與調胃承氣湯.

2.3.2.2. 蒸蒸發熱 腹脹滿

2.3.3. 2 소승기탕증

2.3.3.1. 太陽病, 若吐、若下、若發汗, 微煩, 小便數, 大便因硬者, 與小承氣湯

2.3.3.2. 煩燥

2.3.3.3. 陽明病, 其人多汗, 以津液外出, 胃中燥, 大便必硬, 硬則讝語, 小承氣湯主之.

2.3.4. 3 대승기탕증

2.3.4.1. 배가 창만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고

2.3.4.2. 배꼽 주위가 아파서 손을 댈 수 없고

2.3.4.3. 일포에 조열이 있고

2.3.4.4. 손발에 계속해서 땀이 나고

2.3.4.5. 번조 섬어 대변불통

2.3.4.6. 맥지하면서 힘이 있는 증상

2.3.5. 4 마자인환증

2.3.5.1. 胃强脾弱

2.3.6. 5 밀전도법

2.4. 하법 可, 不可

2.4.1. .......

2.5. 양명병의 경증과 치법

2.5.1. 풍한의 사기가 처음으로 양명경표에 침입하여 아직 부에 들어가지 않은 증후

2.5.2. 원인

2.5.2.1. 풍한의 사기가 집접 양명경에 침입

2.5.2.2. 태양병에 처음 걸렸을 때 발한이 적절치 못하여 사기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아 양명경에 전속

2.5.3. 치법

2.5.3.1. 갈근탕

2.5.3.2. 승기탕

2.5.3.3. 계지탕

2.5.3.4. 마황탕

2.6. 양명병의 열증과 치법

2.6.1. 傷寒, 脈浮滑, 此表有熱, 裏有寒, 白虎湯主之.

2.7. 양명병의 한증과 치법

2.7.1. 陽明病, .......不能食, 名中寒.

2.7.2. 오수유탕

2.7.3. 황련탕

2.8. 양명병의 축혈증과 치법

2.8.1. 저당탕 O

2.8.2. 저당탕 X

2.9. 습열발황의 증과 치법

2.9.1. 인진호탕_사열

2.9.2. 치자백피탕_청열

2.9.3. 마황연초적소두탕_산열

2.10. 예후

2.10.1. ............

3. 소양병

3.1. 변증강요

3.1.1. 少陽之爲病, 口苦、咽乾、目眩也.

3.2. 정치법

3.2.1. 사기 전입_往來寒熱, 胸脅苦滿, 默默不欲飲食, 心煩喜嘔

3.2.2. 소시호탕

3.2.2.1. 傷寒中風, 有柴胡證. 但見一證便是, 不必悉具.

3.3. 치료금기

3.3.1. 한 토 하

3.4. 병기의 변화

3.4.1. 소양_표리의 지도리, 음양의 지도리

3.4.2. ...........

3.5. 權變치법

3.5.1. 시호계지탕

3.5.2. 대시호탕

3.5.3. 시호가망초탕

3.5.4. 시호계지건강탕

3.5.5. 시호가용골모려탕

3.6. 열이 혈실에 들어간 경우

4. 합병 병병

4.1. 태양과 양명의 합병

4.1.1. 태양경증 + 양명경증

4.1.1.1. 맥부 발열 오한 무한 두항강통

4.1.1.2. 緣緣面赤 목통 비건

4.1.2. 必自下利, 葛根湯主之.

4.1.3. 不下利但嘔者, 葛根加半夏湯主之.

4.2. 태양과 소양의 합병

4.2.1. 自下利者, 與黃芩湯

4.2.2. 若嘔者, 黃芩加半夏生薑湯主之.

4.3. 양명과 소양의 합병

4.3.1. 대승기탕

4.4. 삼양의 합병

4.4.1. 脈浮大, 上關上, 但欲眠睡, 目合則汗.

4.5. 태양과 양명의 병병

4.5.1. 發汗則愈

4.6. 태양과 소양의 병병

4.6.1. 愼勿下之

4.7. 소양과 양명의 병병

4.7.1. 소시호탕

5. 태음병

5.1. 변증강요

5.1.1. 太陰之為病, 腹滿而吐, 食不下, 自利益甚, 時腹自痛.

5.2. 태음장병

5.2.1. 비허한증

5.2.2. 自利不渴者, 屬太陰, 以其藏有寒故也.

5.2.3. 이중탕

5.2.3.1. 온중산한 건비운습

5.2.4. 桂枝加芍藥湯

5.2.4.1. 本太陽病, 醫反下之, 因而腹滿時痛者, 屬太陰也.

5.2.5. 桂枝加大黃湯

5.2.5.1. 太實痛者

5.3. 태음경병

5.3.1. 桂枝湯

5.3.1.1. 太陰病, 脈浮者, 可發汗.

5.3.2. 陽微陰澀而長者, 為欲愈.

5.4. 태음경장구병

5.4.1. 표리가 모두 한증

5.4.2. 사역탕

5.4.3. 계지탕

6. 소음병

6.1. 변증강요

6.1.1. 脈微細, 但欲寐也.

6.2. 한증

6.2.1. 1

6.2.1.1. 마황부자세신탕

6.2.1.1.1. 양감증

6.2.1.2. 마황부자감초탕

6.2.1.2.1. 得之二三日

6.2.2. 2 부자탕

6.2.2.1. 소음陽虛裏寒

6.2.2.1.1. 무열 수족한 신동 골절동통

6.2.3. 3 진무탕

6.2.3.1. 양을 덥혀 한을 몰아내어 수기를 통리

6.2.4. 4 사역탕

6.2.4.1. 少陰病, 脈沉者, 急溫之, 宜四逆湯.

6.2.5. 5 통맥사역탕

6.2.5.1. 음성격양증

6.2.6. 6

6.2.6.1. 백통탕

6.2.6.1.1. 少陰病, 下利脈微者

6.2.6.2. 백통가저담즘탕

6.2.6.2.1. 利不止, 厥逆無脈, 乾嘔煩者

6.2.6.3. 脈暴出者死, 微續者生.

6.2.7. 7 오수유탕

6.2.8. 8 도화탕

6.3. 열증

6.3.1. 1 황련아교탕

6.3.2. 2 저령탕

6.3.3. 3 사열이 밖으로 태양으로 전해진 증

6.3.4. 4 사역산증

6.4. 인통

6.4.1. 해독산결완통

6.4.1.1. 감초탕 길경탕

6.4.2. 酸收

6.4.2.1. 고주탕

6.4.3. 淸滋

6.4.3.1. 반하탕/산

6.4.4. 散寒滌涎

6.4.4.1. 저부탕

6.5. 급하증

6.5.1. 대승기탕

6.6. 치료금기

6.6.1. 少陰病, 脈細沉數, 病為在裏, 不可發汗.

6.6.2. 少陰病, 脈微, 不可發汗.

6.7. 예후

7. 궐음병

7.1. 변증강요

7.1.1. 消渴, 氣上撞心, 心中疼熱, 飢而不欲食, 食則吐蚘, 下之利不止.

7.2. 한열착잡증

7.2.1. 1 오매환

7.2.2. 2 건강황금황련인삼탕

7.2.3. 3 마황승마탕

7.3. 한증

7.3.1. 1 오수유탕

7.3.2. 2 당귀사역탕

7.4. 열증

7.4.1. 소시호탕

7.4.2. 백호탕

7.4.3. 소승기탕

7.4.4. 백두옹탕

7.4.5. 황련아교탕

7.5. 병기변화

7.5.1. 厥深者熱亦深, 厥微者熱亦微.

7.5.2. ..............

7.6. 치료금기

7.6.1. 諸四逆厥者, 不可下之,

7.7. 예후

8. 곽란병

8.1. 변증강요

8.1.1. 嘔吐而利, 名曰霍亂.

8.1.2. 自吐下

8.2. 곽란과 상한의 감별

8.2.1. 霍亂自吐下

8.2.2. 傷寒, 其脈微澀者, 本是霍亂, 今是傷寒, 卻四五日, 至陰經上, 轉入陰必利,

8.3. 증 치

8.3.1. 1 표리한열

8.3.1.1. 오령산

8.3.1.2. 이중탕/환

8.3.2. 2 구토 설사로 인한 망양

8.3.2.1. 사역탕

8.3.3. 3 구토 설사로 음양이 모두 허

8.3.3.1. 사역가인삼탕

8.3.4. 4 구토 설사로 양이 빠져나가고 음이 고갈

8.3.4.1. 통맥사역가저담즙탕

8.3.5. 5 곽란병 후의 조치

8.3.5.1. 계지탕

9. 음양역과 병이 나은 후 노복병

9.1. 음양역

9.1.1. 소곤산

9.2. 노복병

9.2.1. 지실치자시탕

9.3. 병이 나은 후 다시 발열

9.3.1. 하법

9.3.2. 화해_소시호탕

9.4. 병이 나은 후 허리 이하에 수기

9.4.1. 모려택사산

9.5. 병이 나은 후 침을 자부 뱉는 경우

9.5.1. 이중환

9.6. 병이 나은 후 여위고 숨결이 약

9.6.1. 죽엽석고탕

9.7. 병이 나은 후 해 질 무렵에 약간 번증

9.7.1. 음식 절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