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화분

스마트 화분 Todolist

시작하기. 무료입니다
또는 회원 가입 e메일 주소
스마트 화분 저자: Mind Map: 스마트 화분

1. 3. 화분제작

1.1. 디자인

1.1.1. 세부 디자인 결정 작업

1.1.1.1. 화분 규모 결정

1.1.1.1.1. 15*15*16 / 21*21*25

1.1.1.2. 식물 종 결정

1.1.1.2.1. (Prototype) 테이블 야자

1.1.1.3. 제작 방향 결정

1.1.1.3.1. 화분 재질 확정

1.1.1.3.2. 화분 제작 방법 확정

1.1.1.3.3. 화분 디자인 조감도 확정하기

1.1.2. 화분 설계

1.1.2.1. 화분 조감도 기반으로 부품 규격 확인하기

1.1.2.2. 화분 설계 기능명세서 작성(물받침 포함)

1.1.2.3. 화분에 센서 부착 위치 확보하기

1.1.2.3.1. 라이노 3D로 확인

1.1.2.4. 최종 제작화분 검토

1.1.2.4.1. 라이노 3D로 확인

1.1.2.5. 화분 내부 구조도 포함, 설계 도안 확정(물받침 포함)

1.1.2.5.1. 라이노 / 일러스트레이터

1.1.3. 화분 제작

1.1.4. 화분 검수

1.1.4.1. 제작 결과물 검수

1.1.4.2. 부품 규격 호환성 확인하기

1.1.5. 조립

1.1.5.1. 디자인 조립 작업

1.1.5.1.1. 화분 실물에 부품 부착 시도

1.1.5.1.2. 테스트용 화분 따로 제작

1.1.5.1.3. 화분 내 전선 배선

1.1.5.1.4. 최종 부품 연결/조립

1.1.5.2. 기능 조립 작업

1.1.5.2.1. MCU연결 및 작동확인

1.1.5.2.2. 와이파이 연결확인

1.1.5.2.3. 회로

1.1.5.2.4. 센서 동작시험

1.1.5.2.5. 최종 조립물 동작 시험

1.2. 조립

1.2.1. 디자인 조립 작업

1.2.1.1. 화분 실물에 부품 부착 시도

1.2.1.2. 테스트용 화분 따로 제작

1.2.1.3. 화분 내 전선 배선

1.2.1.4. 최종 부품 연결/조립

1.2.2. 기능 조립 작업

1.2.2.1. MCU연결 및 작동확인

1.2.2.2. 와이파이 연결확인

1.2.2.3. 회로

1.2.2.3.1. 부품 테스트 작업

1.2.2.3.2. 회로 제작 작업

1.2.2.4. 센서 동작시험

1.2.2.4.1. 온습도 센서 결정하기

1.2.2.4.2. 토양수분도 센서 결정하기

1.2.2.4.3. 광센서 결정하기

1.2.2.4.4. 수위센서 결정하기

1.2.2.4.5. 유량센서 결정하기

1.2.2.5. 최종 조립물 동작 시험

1.2.2.5.1. 구동 부품 동작시험

1.3. UX

1.3.1. 부품 피드백 항목 정리

1.3.1.1. 센서 피드백 항목 정리

1.3.1.2. 관리 동작 항목 정리

1.3.2. 상황별 피드백 정리

1.3.2.1. 수분

1.3.2.1.1. 수분 부족 감지시 동작 결정하기

1.3.2.1.2. 수분 과다 시 동작 여부 결정하기

1.3.2.2. 온도

1.3.2.2.1. 고온 확인시 경보 방법 결정하기

1.3.2.2.2. 저온 확인시 경보 방법 결정하기

1.3.2.3. 습도

1.3.2.3.1. 저습 환경 피드백 방식 결정하기

1.3.2.3.2. 과습 환경 피드백 방식 결정하기

1.3.2.4. 수위

1.3.2.4.1. 저수위 경보 방법 결정하기

1.3.2.4.2. 고수위 경보 방법 결정하기

1.3.2.5. 네트워크

1.3.2.5.1. 네트워크 미연결 알림 방법 결정하기

1.3.2.5.2. 네트워크 상태 확인 방법 결정하기

1.3.3. 피드백 결정사항 검토

1.3.4. 추가 피드백 소요 검토

2. 3. 어플제작

2.1. Client App 제작

2.1.1. 개발환경 구축

2.1.1.1. 어플 개발 환경 결정하기

2.1.1.1.1. 개발 언어 결정하기

2.1.1.1.2. 어플 와이어프레임 결정하기

2.1.1.1.3. 어플 지원 플랫폼 결정하기

2.1.1.1.4. 어플 지원 디바이스 결정하기

2.1.1.2. 어플 개발 환경 셋팅하기

2.1.1.3. 개발 현황 공유 경로 확보

2.1.2. 어플개발

2.1.2.1. 데이터 저장 시험

2.1.2.2. 정보 표시판 구현하기

2.1.2.3. 테스트 어플 확보하기

2.1.3. 어플디자인

2.1.3.1. UI 버튼 리스트 확정하기

2.1.3.2. UX 시나리오 설정

2.1.3.2.1. 페르소나 기법 활용

2.1.3.3. UI 디자인 컨셉 확정하기

2.1.3.4. UI 제작

2.1.3.4.1. 노티 아이콘 및 앱 디자인

2.1.3.5. UI 버튼과 기능 연결하기

2.1.3.6. 사용성 평가 진행

2.2. 서버 셋팅

2.2.1. 서버 개발 환경

2.2.1.1. 서버 개발환경 결정하기

2.2.1.2. 개발 현황 공유 경로 확보

2.2.1.3. 서버 개발 환경 셋팅

2.2.2. 서버 통신

2.2.2.1. 송수신 시험

2.2.2.1.1. 화분 데이터 수신 시험

2.2.2.1.2. 화분 데이터 송신 시험

2.2.2.1.3. 서버 데이터 수신 시험

2.2.2.1.4. 서버 데이터 송신 시험

2.2.2.2. 클라이언트-서버 시험

2.2.2.2.1. 서버-클라이언트 호환성 검토

2.2.2.2.2. 클라이언트 접속 환경 구축

2.2.2.2.3. 클라이언트 접속 시험

2.2.3. 데이버베이스 구축

2.2.3.1. 서버 모니터링 데이터 구조 확정하기

2.2.3.2. 서버 모니터링 데이터 베이스 구축하기

2.2.4. 데이터베이스 연동

2.2.4.1. 화분 송수신 요청 쿼리 기능 구현

2.2.4.2. 클라이언트 송수신 요청 쿼리 기능 구현

2.3. 최종 테스트

2.3.1. 서버 환경 재검토하기

2.3.2. 서버 가동

3. 3. 하드웨어 제어

3.1. SW 샘플코드 수집

3.1.1. 센서

3.1.1.1. 토양수분센서 시험 환경 확보하기

3.1.1.1.1. 토양수분센서 구동 샘플 코드 수집 및 작동 시험

3.1.1.2. 광센서 시험 환경 확보하기

3.1.1.2.1. 광센서 구동 샘플 코드 수집 및 작동 시험

3.1.1.3. 수위 센서 시험 환경 확보

3.1.1.3.1. 수위 센서 구동 샘플 코드 수집 및 작동 시험

3.1.1.4. 온습도 센서 시험 환경 확보

3.1.1.4.1. 온습도 센서 구동 샘플 코드 수집 및 작동 시험

3.1.1.5. 유량 센서 시험 환경 확보

3.1.1.5.1. 유량 센서 구동 샘플 코드 수집 및 작동 시험

3.1.2. 구동 부품

3.1.2.1. 보조 광원용 LED 결정하기

3.1.2.1.1. 광원용 LED 구동 샘플 코드 수집 및 작동 시험

3.1.2.2. 상태 확인용 LCD 결정하기

3.1.2.2.1. 상태 LCD 구동 샘플 코드 수집 및 작동 시험

3.1.2.3. 수분 펌프 시험 환경 확보

3.1.2.3.1. 수분 펌프 구동 샘플 코드 수집 및 작동 시험

3.2. 알고리즘 개발

3.2.1. 팀 내 하위 항목 개발 기능 분배

3.2.2. 센서

3.2.2.1. 수위 센서 피드백 알고리즘 / 코드 작성

3.2.2.2. 온도 센서 피드백 알고리즘 / 코드 작성

3.2.2.3. 습도 센서 피드백 알고리즘 / 코드 작성

3.2.2.4. 토양 수분 센서 피드백 알고리즘 / 코드 작성

3.2.2.5. 누적 광량 데이터 알고리즘 확정

3.2.2.5.1. 누적 광량 데이터 처리 코드작성

3.2.2.6. 서버 송신용 데이터 패킷 디자인

3.2.2.6.1. 서버 수신용 데이터 패킷 디자인

3.2.2.7. 최종 코드 유기적 연결성 검토하기

3.2.2.7.1. 최종 코드 리뷰

3.2.2.8. 코드 확정하기

4. 2. 부품 명세

4.1. 부품 산정

4.1.1. 개별 부품 결정

4.1.1.1. 기본 부품 결정하기

4.1.1.1.1. 화분 mcu 결정하기

4.1.1.1.2. 와이파이 모듈 결정하기

4.1.1.2. 센서 부품 결정하기

4.1.1.2.1. 온습도 센서 결정하기

4.1.1.2.2. 토양수분도 센서 결정하기

4.1.1.2.3. 광센서 결정하기

4.1.1.2.4. 수위센서 결정하기

4.1.1.2.5. 유량센서 결정하기

4.1.1.3. 동작 부품 결정하기

4.1.1.3.1. 보조 광원용 LED 결정하기

4.1.1.3.2. 상태 확인용 LCD 결정하기

4.1.1.3.3. 수분 펌프 결정하기

4.1.2. 부품 검토

4.1.2.1. 추가 기능 관련 부품 검토하기

4.1.2.2. 추가 보조 부품 소요 검토하기

4.1.2.3. 부품 디자인 호환성 여부 검토하기

4.1.3. 식물 모종, 분 구입

4.1.4. 부품 구매

4.1.4.1. 부품 견적 확인 후 주문하기

4.1.4.2. 부품 수령

5. 1. 기능 명세

5.1. +하드웨어

5.1.1. 물 펌프

5.1.1.1. 펌프를 작동한다

5.1.1.2. 펌프를 잠근다

5.1.2. 토양 습도 센서

5.1.2.1. [센서 수치 500이상(과다)]

5.1.2.2. [센서 수치 500이하(부족)]

5.1.3. 물탱크(받침대)

5.1.3.1. [물이 없을 경우]---->

5.1.3.1.1. LCD에서 목 마름(이모티콘)을 출력

5.1.4. 온도 센서

5.1.4.1. [고온]---->

5.1.4.1.1. 더움(이모티콘) LCD에 출력

5.1.4.2. [저온]---->

5.1.4.2.1. 추움(이모티콘) LCD에 출력

5.1.4.3. [적절한 온도]---->

5.1.4.3.1. 정상(미정) LCD에 출력

5.1.5. 습도 센서

5.1.5.1. [습하다]---->

5.1.5.1.1. 습함(이모티콘) LCD에 출력

5.1.5.2. [건조하다]

5.1.5.2.1. 건조함(이모티콘) LCD에 출력

5.1.6. 빛

5.1.6.1.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LED점등

5.1.7. 네트워크

5.1.7.1. [화분의 데이터를 APP으로 불러와 읽는다]

5.1.7.2. [APP에서 명령을 내린다]

5.1.8. LCD

5.1.8.1. 각 센서가 나타내는 상태 별로 필요한 이모티콘 출력

5.2. +APP기능 (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