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물류센터 브레인스토밍

시작하기. 무료입니다
또는 회원 가입 e메일 주소
신 물류센터 브레인스토밍 저자: Mind Map: 신 물류센터 브레인스토밍

1. 점포

1.1. 점포간선배송

1.1.1. D-2

2. 채널

2.1. 온라인

2.1.1. 서비스에 제공방식에 따라서

2.1.1.1. 합포

2.1.1.1.1. 조합원

2.1.1.1.2. 임산부

2.1.1.1.3. 정부사업진행 [꾸러미]

2.1.1.1.4. 택배

2.1.1.2. 온도별로 세팅

2.1.1.2.1. 급식

2.1.1.3. 기타 의견

2.1.1.3.1. 개인 포장방식은 종이 박스형태를 고려

2.1.1.3.2. 급식의 경우 배송부자재에대한 고민중 : 레스팅 박스 와 같은 형태

2.1.1.3.3. 공공급식 : 현재는 간납 형태로 물건을 배송하는 형태

2.1.1.3.4. 공공급식의 경쟁력을 가지기 위하여

2.1.1.3.5. 급식은 전용박스

2.2. 의견

2.2.1. 유동적으로 변동되는 사업에 대응이 가능한

2.2.2. 추후 사업의 매출규모에 따라 물류센터의 구조가 변경

2.2.2.1. 현업의 사업에 대한

3. 주문마감

3.1. 상시마감형태 의견

3.1.1. 매장과 온라인 마감에 대한 시간이 서로 다른것으로 진행

3.2. 예측발주 형태

3.2.1. 장점

3.2.1.1. 무재고, 적정재고에 대한 운영

3.2.1.2. 예측발주 형태는 필수로 가야함

3.2.2. 단점

3.2.2.1. 예측발주가 틀릴 수 있음

3.2.2.2. 소량에 대한 발주가 어려움

3.2.2.3. 재고관리가 안되면 문제가 많음

3.2.3. 기타의견

3.2.3.1. 올팜넷과 같은 소분형태로 순환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도움이 될 수 있음

3.2.3.2. 예측발주는 시스템에서 진행

3.2.3.3. 예측발주가 되려면

3.2.3.3.1. 품목에 대한 저장시스템이 잘되어 있어야 함

3.2.3.4. 냉장 2원화에 대한 부분

3.2.3.4.1. 유통온도가 다름

3.2.3.5. 물류센터의 방향이 비용/효율 방향성

3.2.3.5.1. 시뮬레이션 이후에 결정이 되어야 함

3.2.3.5.2. 그러나 서비스는 향상해야 함

3.2.3.6. 콜드체인 기본

3.3. 주문마감시간

3.3.1. 매장 전일 12시 (D-2)

3.3.1.1. 매장을 먼저 작업

3.3.2. 온라인 오후 2시

3.3.2.1. 잔량 및 각 영역별 작업실시

3.3.2.2. 서부센터는 직접 배송

3.3.2.3. 고객 니즈는 조금 늦추면 서비스 증가

3.3.3. D-1은 물류센터에서 일정 재고를 가지고 있는것

3.3.4. 향후 3년에는 세종에 매출이 증가되므로, 택배로 매출증가 해야 함

3.3.5. 정 안되면 D-2 진행

3.4. 입고

3.4.1. 인근 거래처 입고 방법

3.4.2. 직접 매장 및 직출고방법

4. 생산지

4.1. 생산지에서는 어디까지 벌크로 해야 하는지

4.2. 신 물류센터 다음의 내용진행시 생산지많이 변경됨

4.3. 박스크기

4.4. 매일물류 산지와 아닌산지로 정리중 : 농산팀

4.5. 생산지 거리에 따라 여러가지 유형 발생

4.6. 화성을 중심으로 생산지 구축

4.6.1. 가공공장 필요

4.6.2. 화성시 생산지

4.7. 새롬식품의 경우 입고 프로세스 변경가능

4.8. 사랑과 정성은 매우 근접

4.8.1. 밀키드 가능성 검토

4.8.1.1. 밀키드 포장공간필요

5. 물류센터 공간설계

5.1. 상온.냉장.냉동

5.1.1. 입고

5.1.2. 보관

5.1.3. 피킹

5.1.4. 출고

5.2. 기타

5.2.1. 임산부 꾸러미(공공급식)

5.2.2. 택배

5.3. 실내

5.3.1. 기숙사

5.3.2. 사무공간

5.3.3. 화장실

5.3.4. 샤워실

5.3.5. 식당

5.3.6. 올팜넷

5.3.7. PT 쿱

5.4. 냉장 작업공간 필요

5.4.1. 법적으로 4*5 M

5.4.1.1. 현실적으로 10*10 M

5.5. 유정란 작업공간

5.5.1. 육가공 시설 검토 (두레축산 이사?)

5.5.1.1. 건물을 따로 빼는것

5.6. 실외

5.6.1. 입출고 통제실 (경비실)

5.6.2. 폐기물 처리장

5.6.2.1. 병 재사용 관련시설

5.6.2.2. 분리수거

5.6.2.3. 종이박스재사용

5.6.3. 박스 세척장

5.6.4. 드라이 아이스 설비 ?

5.7. 추후에 확장을 고려해 빈 공간이 필요함

5.8. 출고대기장 커야 함

6. 품질

6.1. 콜드체인 기본적인 부분으로 특장점이 될 수 없음

6.2. 소분센터

6.2.1. 올팜넷에서 어느정도 버퍼가 있어야 함

6.3. 장비

6.3.1. 비파괴 검사기가 있어서 당도 측정으로 일정 품질

6.3.1.1. 예) 사과

6.4. 온도대별 자동화 시스템

6.5. 검수/검품

6.5.1. 센터에서 바코드 작업 하는 방법

6.5.1.1. 유통 바코드 시스템 유통 온도 관리를 위하여 유통 바코드

6.5.1.1.1. 박스 형태 보관

6.5.1.1.2. 입고시간 등 품질을 관리하는 바코드 시스템

6.5.1.1.3. 입고 자동화 시스템에는 필수

6.5.1.1.4. SRM에서 출력하는 시스템 구현

6.5.1.1.5. 입고시 : 기존의 입고일보다 적은 일자가 입고되면 알람

6.5.1.2. 상품단위 유통기한 관리가 필요

6.5.1.2.1. SKU 단위로 유통기한관리

6.5.1.2.2. NP가 많아 실제로 생산지에서는 불가능

6.5.1.2.3. 현실적으로는 박스단위 유통바코드 진행

6.5.1.2.4. 사전입고되는 경우 필요

6.5.2. 유통기한 관련 문제 해결 필요

6.5.2.1. TC 품목의 입고 품목중 유통기한 문제 차이 는 육안으로 불가능, 시스템 구현이 필요

6.5.2.2. 시스템에서 각 생활재별 입고 단위별 유통기한 관리 시스템이 필요

6.5.3. 검품

6.5.3.1. 현재 4~7시 작업인원 배치

6.5.3.1.1. 사전 입고시 인력이 모자를 수 있음

6.5.3.1.2. 올팜넷이 상주하면, 입고 검수에 대한 시간을 벌 수 있음

6.5.3.2. 검수 검품을 프로세스설계시 필수

6.5.3.2.1. 입고 검품이 필수가 되면

6.5.3.2.2. 현재는 육안 관능검사만으로 진행

6.5.3.2.3. 검품에 대한 별도의 장비 및 공간

7. 배송

7.1. 발주쪽이 변경이 되면 새벽배송도 가능 할것 같음

7.2. 동부 북부는 거리가 있어 배송 프로세스

7.2.1. 각 1.5시간 정도

7.3. 마감시 TMS 및 인프라 고민 필요

7.3.1. 시간대별 마감이후 배송센터

7.4. 영역별 관리에서 일원화 관리

7.4.1. 매장 배송

7.4.2. 배송센터

7.4.3. 개인배송 (DLS)

7.4.3.1. 임산부배송

7.4.3.2. 과일꾸러미 배송

7.4.4. 생산지 배송

7.4.5. 매입부터 배송까지 하나의 프로세스

7.5. 기타 의견

7.5.1. 거리

7.5.1.1. 현 물류센터보다 거리가 조금 멀어짐(화성)

7.5.1.2. 서부센터는 물류센터에서 직배송

7.5.2. 배송형태 : 2회 배송도 가능

7.5.2.1. 오전 : 8~12시

7.5.2.2. 오후 : 17~20시

7.5.2.3. 인력이 2교대로 차량배송

8. 피킹

8.1. 온라인,매장의 각 각 영역별로 피킹

8.1.1. 매장 DAS 단위

8.1.1.1. 예)오아시스

8.1.1.1.1. 알바분들이 매장 15개 진행

8.1.2. 온라인 MPS 단위

8.2. 소분센터공간으로 원물 입고 후 품질 향상

8.3. 입고 자동화 라인 구축

8.4. 상온/냉장 하나의 라인

8.4.1. 냉동 등 각 2개의 라인으로 진행

8.5. GTP 기능의 검토

8.5.1. 재고가 있는것들은 무조건 먼저 세팅

8.5.1.1. 추후 입고이후에 세팅

8.5.1.1.1. 설비비용차이 시물레이션 해봐야함

8.5.1.2. 합포 과정이 필요없음

8.6. 사람을 구하기 어려움

8.6.1. 외국인 노동자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8.6.1.1. 자동화 구현

8.7. 마켓컬리 QPS

8.7.1. 시스템적으로 물류센터의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 적용

8.8. 랙운영 방식

8.8.1. 로케이션에 다양한 생활재로 활용성 증가

8.8.2. 소터

8.8.2.1. 신선식품에도 사용 가능

9. 입고 보관방식

9.1. 보관하는 방식 (랙)

9.1.1. 구매팀과 협의가 필요

9.1.2. 효율을 최대화 하기 위하여, 각 생활재별 입고 표준이 필요함

10. 포장 방식

10.1. 농산

10.1.1. 레스팅 박스 활성화

10.1.1.1. 주문단위의 다양화

10.1.1.1.1. 예) 각 레스팅박스에 매장에 주문수량을 미리 세팅하여 바이패스

10.1.2. 파레트

10.1.2.1. 벌크형 파레트

10.2. 출고관련

10.2.1. 조합원 공급

10.2.1.1. 롤모델은 마켓컬리

10.2.1.1.1. 종이박스

10.2.1.2. 마이박스의 경우 레스팅 박스로 세팅

10.2.2. 급식

10.2.2.1. 간납

10.2.2.1.1. 레스팅 박스

10.2.2.2. 직납

10.2.3. 매장

10.2.3.1. 온도관리가 되는 배송

10.2.3.1.1. 매장 품질관리(콜드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