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분반 현민주 2장 윤리문제를 다루는 관점-공리주의
저자: 현민주/학생/전자공학 12201668

1. 윤리이론
1.1. 의의
1.1.1. 도덕적 문제를 분석하는데 유용
1.1.2. 논쟁이나 갈등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줌
1.2. 공학윤리에서의 역할
1.2.1. 논쟁이나 갈등 해결을 위한 지침 제공
1.2.2. 정책이나 행동의 정당성 검증 및 평가 기준 제공
1.3. 전통적 윤리 이론
1.3.1. 공리주의적 윤리 이론
1.3.1.1. 행위의 결과 중시
1.3.1.2. 목적론적 윤리설
1.3.1.3. "사람들에게 최대의 효용을 산출하는 행위나 규칙은 옳다"
1.3.1.3.1. 자유
1.3.1.3.2. 복지
1.3.1.4. 비용-편익 관점
1.3.1.4.1. 도덕 기준을 양적인 방식으로 적용
1.3.1.5. 행위 공리주의적 관점
1.3.1.5.1. 최대의 효용을 산출하는 [행위]는 옳다
1.3.1.6. 규칙 공리주의적 관점
1.3.1.6.1. 최대의 효용을 산출하는 [규칙]은 옳다
1.3.1.7. 한계
1.3.1.7.1. 미래에도 옳은 행위나 규칙인가?
1.3.1.7.2. 대상이 되는 범위는 어디까지 인가?
1.3.1.7.3. 소수를 희생시키는 것이 옳은가?
1.3.2. 인간존중의 윤리 이론
1.3.2.1. 행위의 동기 중심
1.3.2.2. 의무론적 윤리설
2. 도덕적 판단을 정당화 하기 위한 일반 원리
2.1. 보편화 가능성
2.1.1. 모두가 공감 가능
2.2. 가역성
2.2.1. 상대방의 입장에서 행동 및 도덕 규칙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