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014 목1 오세정 종양치료에서의 외과의 역할

시작하기. 무료입니다
또는 회원 가입 e메일 주소
20151014 목1 오세정 종양치료에서의 외과의 역할 저자: Mind Map: 20151014 목1 오세정 종양치료에서의 외과의 역할

1. 수업학습성과

1.1. 다학제적 종양치료에서 외과가 차이하는 부분과 역할에 대해 설명

2. 1. 외과적 종양치료의 역사

2.1. McDowell

2.2. Theodore Billroth

2.2.1. 외과에서하나님 같으신분

2.3. William Hals

2.3.1. en bloc

2.4. Hugh Young

2.4.1. American urologist

3. 2. 암종의 진단 histologic diagnosis

3.1. 1) 세침흡인세포진검사(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3.1.1. cytology의 세포 낱개를 볼때.

3.1.2. 굉장히 작은 양밖에 볼수가 없다.

3.2. 2) 중심침 생검(core needle biopsy)

3.2.1. 가장 많이 선호됨

3.3. 3) 절개 생검(incisional biopsy)

3.3.1. 잘라서 열었다

3.4. 4) 절제 생검(excisional biopsy)

3.4.1. 잘라서 제거했다

3.5. 5) 생검할 때 일반적인 지침

3.5.1. 1 침생검 트랙이나 절개창은 최종수술을 하는데 방해가 되거나 남겨두었을 때 국소재 발의 우려가 있으므로 절제범위에 쉽게 포함될 수 있도록 위치선정을 잘 해야 한다.

3.5.2. 2 생검 중에 정상조직이 오염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3.5.3. 3 조직은 필요에 따라 충분한 양을 확보해야 한다.

3.5.4. 4 상당한 양의 조직을 절제한 경우에는 병리의사에게 조직의 방향을 알려줘야

3.5.5. 5 동결절편조직검사 (frozen section)나 신선조직이 필요한 분자생물학적 검사 등이 필 요한 경우에는 절제한 조직을 포르말린에 고정해서는 안 되고, 신선조직을 바로 병리의사에 게 보내야 한다.

3.5.6. 6 방사선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와 같이 종양의 위치를 특정해 놓아야 하는 경우에는 생검 중에 금속 클립 같은 방사비투과성 재료 등을 이용하여 위치표시

3.6. 6) 진단에서 복강경의 역할

3.6.1. 후복막에 위치한 림프절이나 장간막에 발생한 종양과 같은 경우

3.6.2. 개복수술과 거의 유사한 시야에서 안전하게 조직을 얻을 수 있으며

3.6.3. 간종양과 같은 육안으로 찾기 힘든 병소를 정확히 찾아내어 생검

3.7. 7) 병기결정수술(staging operation)

3.7.1. 대표적인 예로 림프종

3.7.1.1. 호지킨 림프종

3.7.1.2. 비호지킨 림프종

3.7.1.3. 림프절 생검이 필수적

3.7.2. 암환자의 치료방침을 결정 하는데 필요한 병기(임상소견에 근거한 병기)를 판정하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

4. 3. 암종의 치료

4.1. 1) 원발종양의 절제

4.1.1. 고형암(solid tumor)

4.1.1.1. 외과 수술이 가 장 간편하고, 안전한 치료방법

4.2. 2) Debulking surgery

4.2.1. 암종의 일부만 제거

4.3. 3) 전이병소

4.3.1. 간, 폐, 뇌 등에 발생한 단일 전이병소

4.3.2. 전신화학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서 효과적

4.4. 4) 완화요법으로서 외과 수술 (palliative surgery)

4.4.1. 소화관이 폐색된 경우

4.4.2. 종양이 신경을 직접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

4.4.3. 종양괴사로 인하여 2차적인 세균감염 이 우려되는 경우

4.5. 5) 재건 또는 재활 목적의 외과 수술

4.5.1. 유방재건술

4.6. 6) 암환자에서 응급상황

4.7. 7) 복강경 수술(laparoscopic surgery)

4.7.1. 진단과 치료에 모두 이용

5. 4. 암의 예방

5.1. Table 1. Prophylactic Surgery for the Prevention of Cancer

5.2. 보조요법 Supportive procedures for medical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