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콘텐츠 개발

Jetzt loslegen. Gratis!
oder registrieren mit Ihrer E-Mail-Adresse
스마트콘텐츠 개발 von Mind Map: 스마트콘텐츠 개발

1. SWOT분석

1.1. 강점Strenght: -중국어 전문 공식 교육기관 이미지 보유 -중국 정부의 방송, 신문 콘텐츠 저작권 해결능력 보유 -중국어 교육 전담, 촬영인력 확보 수월

1.2. 약점Weakness: -스마트 중국어 교육 콘텐츠 기반 인프라 취약 -콘텐츠 관리 전담인력 부족 -스마트 콘텐츠 제작을 위한 원데이터 부족

1.3. 기회Opportunity: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에 따른 언어문화 교육 콘텐츠 수요 증가 (웹접근도 약화 추세) -박근혜 대통령 방중 중국어 연설로 중국어 습득 희망자 증가(중앙일보 2013.7.5)

1.4. 위협Threat: -국내외 민간 교육기업의 공격적이고 체계적인 콘텐츠 개발(예, 다락원, 문정아) -개방형 콘텐츠 플렛폼 발달로 인한 개인 개발자 증가 -글로벌 기반 교육 콘텐츠 개발로 인한 국내외 경쟁 치열

1.4.1. Untitled

1.4.1.1. Untitled

2. 현재 어플리케이션 개발 현황, 한계

2.1. 회화, 어휘, 번역, 사전 어플 집중 심화

2.2. 초급 위주 개발

2.3. 강의형식의 어플은 소수(예, 문정아중국어)

2.4. 대부분 편폭, 분량에 한계로 경쟁력 취약

2.5. 영상 미디어(cctv, 영화 등) 활용 어플 미흡

2.6. 중국어 듣기, 작문, 한중쌍방향 능력 배양 어플 부재

3. 개발방향, 전략

3.1. - 장기적인 기획, 개발, 홍보 전략 수립

3.2. - 통일적인 이미지 메이킹(디자인, 로고, 레이아웃 통일)으로 이미지 각인(예, 이보영시리즈)

3.3. - 다양한 시리즈 형식 개발

3.4. - 경쟁력 있는 개발 업체 선정과 지속적인 협업

3.5. - 합리적인 콘텐츠 가격 책정, 무료 홍보 콘텐츠 동시 개발

3.5.1. Untitled

3.6. - 지속 가능한 콘텐츠 개발과 관리 인원 확보

3.7. - 중국 오디오북 개발 업체와 협력 기반 조성(한국어 어휘, 번역 추가 활용 가능, 예, appletree, babybook, 5qchannel)

3.7.1. Untitled

3.8. Apple, Android 동시개발(국내 경쟁 OS 분석)

3.9. 웹기반 개발 완료된 콘텐츠 스마트 디바이스 전환 활용

4. 운영전략

4.1. 스마트 콘텐츠 관리 전담 인력 확보

4.2. 스마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구축(기존 서버 활용 가능)

4.3. 콘텐츠 촬영 인프라 확보

4.4. 중국어 교사 협의회등 유관 교육 단체와 유기적 관계유지, 콘텐츠 평판도 홍보(중국어 교육 전략 연수 실시)

4.5. 콘텐츠운영 정례회의, 기획분석

5. 개발가능분야

5.1. 중국문화

5.1.1. 중국전통문화, 분야별 문화 콘텐츠 제작(무료 유인 홍보 콘텐츠)

5.1.1.1. Untitled

5.2. 듣기콘텐츠

5.2.1. CCTV청취테크닉(중국어, 병음, 한글 자막 지원) (예, CNN청취훈련(시사영어사)

5.2.1.1. Untitled

5.3. 강독콘텐츠 (자막지원)

5.3.1. 뉴스(시리즈)

5.3.2. 연설

5.3.2.1. 예, Ted, Tedisub

5.3.2.1.1. Untitled

5.3.3. 고사, 성어, 우언(시리즈) (현재 개발 미흡)

5.3.4. 노래(가사 lrc 지원)

5.4. 어휘

5.4.1. 등급별 HSK

5.4.1.1. Untitled

5.5. 회화(주력 콘텐츠)

5.5.1. 단계별: 초급, 중급, 고급

5.5.2. 분야별: 생활, 여행, 상무 등 (예, 이보영 영어회화 시리즈)

5.5.2.1. Untitled

5.6. 중국어 표현, 말뭉치

5.6.1. Untitled

5.7. eBook(어플, 뉴스가판대) 안드로이드 book802

5.7.1. Untitled

5.8. 공자아카데미 웹앱 (정보제공)

5.8.1. Untit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