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다양한 갈등

Começar. É Gratuito
ou inscrever-se com seu endereço de e-mail
# 동아시아 다양한 갈등 por Mind Map: # 동아시아 다양한 갈등

1. (전지수)

1.1. #베트남전쟁

1.1.1.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 VS 남베트남 정부군과 미국

1.1.1.1. 한국의 지원: 남베트남 정부군과 미국

1.1.1.1.1. 박정희 정부

1.1.1.2. 존슨 대통령의 파병 요청

1.1.1.3. 맹호부대와 청룡부대, 백마부대 등 30만 명이 넘는 전투병력 파병(미국 다음으로 많은 숫자!)

1.1.1.4. 남베트남, 미국,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태국, 필리핀, 뉴질랜드, 중화민국

1.1.1.4.1. 참전국

1.1.2. <<<전개 과정>>>

1.1.3. 1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 식민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독립운동

1.1.4. 2차 세계대전, 일본의 침략으로 베트민 결성

1.1.5. 일본의 패망 후 베트남민주공화국 독립 선포

1.1.6. 프랑스는 인정 X. 제 1차 인도차이나 전쟁

1.1.7. 1964년, 제네바에서 휴전 협정 성립 - 남과 북 분단

1.1.8. 남베트남, 잇따른 쿠데타로 불안정

1.1.8.1. 응오딘지엠 - 즈엉반민 - 응우옌칸

1.1.9. 미국 존슨 정부, '통킹 만 사건'을 구실로 북베트남에 폭격(1964년)

1.1.9.1. 약 55만명의 지상군 파견

1.1.10.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 1969년 남베트남공화국 임시혁명정부 수립

1.1.10.1. 미국 반전 여론 높아짐. 존슨 재선 실패, 닉슨 당선 -> '닉슨 독트린'

1.1.11. 1968년 5월부터 미국과 북베트남의 정전 협상 시작

1.1.12. 1973년 1월 27일 파리에서 평화협정 체결

1.1.12.1. 남베트남에서 미국 철수

1.1.12.2. 남베트남에 원조 축소

1.1.12.3. 북베트남 - 미국 사이 포로 교환

1.1.13. 1974년, 경제 위기를 배경으로 또다시 무력충돌

1.1.14. 1975년,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의 수도 점령, 대통령 즈엉반민의 항복

1.1.14.1. 남베트남공화국 수립

1.1.15. 1976년 남북 통합,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 수립

1.1.16. <<생각해 볼 문제>>

1.1.16.1. 베트남 파병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과 성폭행?

1.1.16.1.1. 김대중 정부의 사죄

1.1.16.1.2.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정부 등 계속된 사죄

1.1.16.2. 원하지 않았던 베트남 파병과 임금 미지급?

1.1.16.3. 박정희 정부의 이중 배상 금지로 적절한 보상X

1.1.16.4. 교과서에는 나오지 않는 베트남전쟁?

2. (하성은)

2.1. 영토를 둘러싼 갈등

2.1.1. #센카쿠 열도 분쟁

2.1.1.1. 센카쿠 열도: 자원 풍부, 해상 교통의 요지

2.1.1.2. 1. 배경: 19세기 후반 일본의 류큐 왕국 복속, 청/일 전쟁 승리로 타이완 지배

2.1.1.2.1. 2. 경과: 제 2차 세계 대전(1939~1945) 이후 중국이 반환 요구

2.1.1.2.2. ------------분쟁의 전개 과정-----------

2.1.1.2.3. 1968~1969년 유엔 아시아극동경제위원회에 의해 동중국해 일대에서 방대한 양의 석유가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 확인

2.1.1.2.4. +1_역사적,국제법적 쟁점과 당사국의 입장

3. 이인선

3.1. #한일 무역전쟁

3.1.1. 시작

3.1.1.1. 2019년 일본이 한국에 단행한 공업 소재(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핵심 소재) 수출 규제 조치

3.1.1.1.1. 일제시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온 역사의 중심에 있는 사안

3.1.2. 강제 동원 기업 자산의 현금화

3.1.2.1. 의미1) 일본 기업을 한국이 강제로 매각해 현금화 하는 것

3.1.2.2. 의미2) 현금화가 이루어졌을 때, 1.기업 철수 2.금융,,,투자금,, 최종적으로 교류 중단 => 국가간의 교류 중단

3.1.2.2.1. 국가간 GDP차이, 3배

3.1.3. 일본에 대한 비판의 시선

3.1.3.1. G20 - '자유롭고 공평한 무역' 강조

3.1.4. 한국에 대한 보복 조치

3.1.4.1. 한국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

3.1.4.2. 비자발급 중단

3.1.4.3. 한국에 대한 신용등급 인하 등

3.1.5.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제한

3.1.5.1. 한국의 반도체 패권을 막기 위한 타격

3.1.5.2. 배경

3.1.5.2.1. 소재 부품산업의 일본 의존도 높음

3.1.6. 독일과의 비교

3.1.6.1. 피해국가, 피해국민 대상 끊임없는 사과

3.1.6.1.1. 국제 사회의 신뢰

3.1.7. 한국의 입장

3.1.7.1. 일제의 35년간 강제점령기를 불법이라고 판단하기에 일본은 불법 행위에 대한 배상을 해야 함.

3.1.8. 일본의 입장

3.1.8.1. 수출 규제 발표 원인

3.1.8.1.1. 일제 전범 기업들에 대한 한국 대법원의 판결

3.1.8.1.2. 한일관계의 법적 근간이 되는 한일 조약, 한국측의 일방적 위반

4. (정민정)

4.1. #난징학살(1937~1938)

4.1.1. 경과

4.1.1.1. 1937년 7월 중일전쟁

4.1.1.1.1. 일본의 대륙침략 원인

4.1.1.2. +프랑스 출신 예수회 신부 로베르 자퀴노

4.1.1.2.1. 안전구역 만들어 중국인 보로

4.1.1.3. 11월 일본이 상하이 점령

4.1.1.4. 중국: 후퇴하며 시가지 초토화 명령

4.1.1.4.1. vs.일본: 양쯔강 계곡에서 중국인 대량 학살로 응수

4.1.1.5. 12월 13일 난징 점령(3일)

4.1.1.6. 중국의 투항요구 거절

4.1.1.6.1. ~1938 2월 (6주) 일본군의 만행과 학살

4.1.1.7. +《Chicago Tribune》과 《New York Times》

4.1.1.7.1. 난징에서 탈출한 서방 언론인들의 전언을 기초로 일본군의 만행을 보도

4.1.2. 피해자 규모

4.1.2.1. 15만명

4.1.2.1.1. 극동국제군사재판

4.1.2.2. 20만명

4.1.2.2.1. 국제적십자사,세계홍만자회,숭선당 등 8개 구호단체들에서 수습해 매장했다고 보고한 시신의 숫자

4.1.2.3. 30만명

4.1.2.3.1. 중국이 추정한 숫자

4.1.3. 난징대학살 이후 처벌

4.1.3.1. 극동국제군사재판

4.1.3.1.1. 제2차 세계대전 종전 뒤 1946년 도쿄에서

4.1.3.1.2. 당시 중지나방면군사령관 마쓰이 이와네

4.1.3.2. 난징군사재판

4.1.3.2.1. 1946년 8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4.1.3.2.2. 당시 일본군 제6사단 사단장 다니 히사오(사형)

4.1.3.2.3. 무카이 도시아키와 노다 쓰요시(사형)

4.1.3.2.4. 당시 육군 대위로 다나카 군기치(사령)

4.1.3.2.5. 당시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이던 아사카 야스히코 왕족

4.1.4. 무라카미 하루키'기사단장 죽이기'

4.1.4.1. 난징대학살을 언급했다가 우익들이 '매국 작가'라고 맹비난

5. (김민지)

5.1. #난사 군도 분쟁(1930~~)

5.1.1. Why?

5.1.1.1. 해상교통의 요충지

5.1.1.2. 천연자원이 풍부

5.1.2. 영유권을 주장하는 근거

5.1.2.1. 중국과 타이완

5.1.2.1.1. 역사적 권원

5.1.2.2. 베트남

5.1.2.2.1. 지리적 근접성과 역사적 권원

5.1.2.3. 필리핀

5.1.2.3.1. 지리적 인접성과 무주지 선점

5.1.2.4. 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

5.1.2.4.1. 지리적 근접성 및 대륙붕과 관련한 해양법협약

5.1.3. 과정

5.1.3.1. 1930년대

5.1.3.1.1. 인도차이나를 지배한 프랑스에 속함

5.1.3.2. 태평양전쟁 중

5.1.3.2.1. 일본이 점령하여 해군 기지로 이용

5.1.3.3. 종전 후인 1949년

5.1.3.3.1. 타이완이 타이핑섬을 점령함

5.1.3.4. 1950년대

5.1.3.4.1. 중국과 베트남·필리핀·말레이시아가 각각 영유권을 주장

5.1.3.5. 1960년대

5.1.3.5.1. 다량의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되었을 가능성이 제기

5.1.3.6. 1984년

5.1.3.6.1. 영국령에서 독립한 브루나이도 가세

5.1.3.7. 1988년

5.1.3.7.1. 핵심 당사국인 중국과 베트남

5.1.3.8. 1992년

5.1.3.8.1. 중국, 난사군도를 포함한영해법을 공포

5.1.3.9. 1994년

5.1.3.9.1. 중국,석유자원 탐사를 추진하여 베트남과 대립

5.1.3.10. 2002년

5.1.3.10.1.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5.1.3.10.2. 중국

5.1.4. 영향

5.1.4.1.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 국가들

5.1.4.1.1. 교역 및 원유도입의 해상 의존도가 매우 높음

5.1.4.2. 대중국 및 대아세안 회원국과의 관계와 연계

5.1.4.2.1. 다자간 평화적 해결에 상당한 국익이 걸림

5.1.4.3. 영국의 BBC News는 21세기의 주요 잠재 분쟁지역으로 꼽읍

5.1.5. Thingking

5.1.5.1. 다국제적분쟁지역은 해결방안이 없을까??

6. # 동북공정 문제(이선희T)

6.1. 배경

6.1.1. 중국의 역사왜곡

6.1.1.1. 무엇을 위해?

6.1.1.1.1. 소수민족 이탈 방지

6.1.1.1.2. 중국 주석의 권력

6.2. 과정

6.2.1. 역사의 다양한 왜곡 시도

6.2.1.1. 발해, 고구려 등

6.3. 현재는?

6.3.1. 한국: 동북아역사재단 출범

6.3.2. 역사왜곡 진행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