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행동
하윤 류により

1. 왜 우리는 도덕적 행동을 하지 못할까?
1.1. 우리가 도덕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우리가 별로 관심을 가지지 않거나, 나의 불편함과 손해 감수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2. 도덕적 민감성과 상상력의 역할은 무엇일까?
2.1. [도덕적 민감성]우리가 도덕적 행동을 하기 위해서 어떤 상황을 도덕적 문제로 느끼고 도덕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
2.2. [도덕적 상상력]우리가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최선의 도덕적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여러 행동을 상상하여 그 결과를 예측하는것을 말한다
2.3. 이러한 도덕적 민감성과 상상력은 사소해 보이는 일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돕고,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이 무엇인지 더욱 사려 깊게 생각할 수 있도록 한다
2.3.1. [도덕적 민감성과 상상력의 활약]잭이라는 아이는 암 치료를 받으면서 그 부작용으로 머리가 빠지게 되었다. 잭은 겉으로 괜찮은 척 했지만 속으로는 빠져가는 머리카락에 마음아파하였고, 친구인 빈센트는 잭의 마음을 눈치채고 자신의 머리카락을 삭발해버린다
3. 도덕적 추론은 어떻게 하는가?
3.1.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도덕적 문제를 경험한다. 이때 도덕적으로 행동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판단을 내려야 한다
3.1.1. 칠률이와 칠송이와 률송이가 함께 동물원에 가게되었다. 칠률이는 동물원에서 새끼 호랑이를 보고 "새끼 호랑이가 두마리 있다!"라고 말했고 률송이도 호랑이를 보고 "새끼 호랑이가 귀엽다"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칠송이가 호랑이를 보고"호랑이를 동물원에 가두는 것은 옳지 않다"라고 말했다.
3.1.1.1. 칠률이의 판단은 사실판단이고, 률송이의 판단은 가치판단, 칠송이의 판단은 도덕 판단이다
3.1.1.1.1. [사실 판단]사실 있는 그대로 판단하며, 참과 거짓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3.1.1.1.2. [가치 판단]어떤 대상의 좋고 나쁨, 옳고 그름, 아름답고 추함 등 대상의 가치에 대해 내리는 판단으로, 개인의 가치관이나 생각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음
3.1.1.1.3. [도덕판단]어떤 사람의 인격이나 행위, 도덕적 상황등에 관하여 도덕적인 관점에서 내리는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