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청소년발달/청소년개발

登録は簡単!. 無料です
または 登録 あなたのEメールアドレスで登録
2.청소년발달/청소년개발 により Mind Map: 2.청소년발달/청소년개발

1. 1

1.1. 청소년발달

1.1.1. 1

1.1.1.1. 개념

1.1.1.1.1. 발달의 개념

1.1.1.1.2. 인간발달

1.1.1.1.3. 소결

1.1.2. 2

1.1.2.1. 경험

1.1.2.1.1. 청소년발달

1.1.3. 3

1.1.3.1. 원리

1.1.3.1.1. 1.

1.1.3.1.2. 2.

1.1.3.1.3. 3.

1.1.3.1.4. 4.

1.1.3.1.5. 5.

1.1.3.1.6. 6.

1.1.3.1.7. 7.

1.1.3.1.8. 8.

2. 2

2.1. 청소년개발

2.1.1. 우리나라

2.1.1.1. 청소년발달과 청소년개발을 혼용

2.1.1.2. 학자들 간에 개념적 혼란

2.1.2. 일반적인 3가지 개념적 용법

2.1.2.1. 용법1 - 과정(natural process)적 측면 강조하는 방식

2.1.2.1.1. 청소년들이 자신의 잠재역량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나가는 과정을 강조

2.1.2.2. 용법2 - 철학 또는 원칙(philosophy & principles)적 측면 강조하는 방식

2.1.2.2.1. 1990년대 youth develolpment 라는 용어

2.1.2.2.2. 강조되는 두 가지 측면

2.1.2.3. 용법3 - 실천(practices)적 측면을 강조하는 방식

2.1.2.3.1.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청소년단체, 청소년시설, 청소년기관 등에서 구체적으로 실천되고 있는 일련의 행위들

2.1.2.3.2. 용법1의 촉진을 위해 계획된 활동에 용법2를 적용한 것

2.1.2.4. 청소년활동 현장에서 혼용되고 있다

2.1.2.4.1. youth development 의 경우

3. 3

3.1. 청소년개발의 중요성

3.1.1. 청소년은 국가의 장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3.1.1.1.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 발달 지원을 위해 다양한 정책이 수립, 추진됨

3.1.1.2. 청소년의 잠재능력을 체계적으로 성장,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한 노력도 실천현장에서 활발히 전개됨

3.1.2. 우리나라의 경우

3.1.2.1. 청소년육성법(1987)과 청소년기본법(1991)으로 법적, 제도적 기반 구축

3.1.2.1.1. 이후 청소년개발을 위한 실천현장은 비약적으로 확대, 발전됨

3.1.3. 청소년개발의 현재적 모습

3.1.3.1. 전통적인 '학교교육체제'와 학교밖 '청소년개발 '이라는 새로운 체제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형성

3.1.3.2.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두 체제가 적절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기능적 파트너십 패러다임이 확산되면서 보다 가시화되고 있다.

3.1.3.2.1. 이것은 청소년기를 학교와 교사가 전적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전통적 단일 책임론의 단편적 인식의 틀을 벗어나 청소년을 위한 다원적 책임론이 점차 확산되고 제도적으로 정착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3.1.4. 제3의 영역에서의 청소년개발

3.1.4.1. 이미 오래전부터 다양하게 존재함

3.1.4.1.1. 근대화이후

3.1.4.2. 청소년기에 대한 책임론

3.1.4.2.1. 학교제일주의(단편적 인식의 틀) 로 좁혀졌다

3.1.4.3. 그 후

3.1.4.3.1. 상당한 정도로 개방적이고 다원화되고 있다.

3.1.5. 청소년개발이란

3.1.5.1.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청소년발달과 관련된 모든 종류의 활동과 교육을 총칭

3.1.5.2. 청소년을 둘러싼 맥락과 지원체제의 강화도 포괄

3.1.6. 청소년개발의 중요성

3.1.6.1. 청소년이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교육적, 가정적, 사회적, 직업적, 신체적, 정서적 문제 등)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함

3.1.6.2. 청소년의 잠재역량(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심리적, 신체적 영역 등)이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일련의 활동

3.2. 청소년개발의 개념

3.2.1. 기본가정

3.2.1.1. 청소년은 문제의 주체가 아니라 사회의 문화적, 경제적 자원

3.2.1.2. 성인과 함께 사회변화를 이끌어 가는 적극적인 존재로 인식하여야 한다

3.2.2. 청소년개발(youth development) 개념 등장

3.2.2.1. 기존의 문제예방적 접근방법에 대한 대안

3.2.2.2. 1990년대 이후에 새롭게 등장한 개념

3.2.3. 청소년개발의 초점

3.2.3.1. 경쟁력있는 성인으로서의 삶을 위해

3.2.3.1.1. 다양한 역량 개발

3.2.3.1.2. 긍정적인 행동 증가시키고

3.2.3.1.3. 믄제행동으로부터 보호하게 해주는 보호요인 강화

3.2.3.1.4. 위험행동 감소

3.2.3.2. ==> positive youth development, healthy youth development, asset-building-approach 등과 혼용됨

3.2.4. 청소년개발의 정의

3.2.4.1. 피트만

3.2.4.1.1. 청소년의 잠재역량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성장, 발전시키는 일련의 과정

3.2.4.2. 벤슨과 피트만

3.2.4.2.1. 청소년들이 다양한 체험, 경험, 활동 등을 통해 청소년기에 당면한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성공적인 성인으로서의 삶을위해 필요한 역량들을 발달시켜 나가는 일련의 과정

3.2.5. 청소년발달과 청소년개발의 차이

3.2.5.1. 청소년발달

3.2.5.1.1. 발달주체인 청소년에 의한 성장과 성숙 강조

3.2.5.1.2. 생물학적 발달

3.2.5.1.3. 심리학적 발달

3.2.5.2. 청소년개발

3.2.5.2.1. 청소년발달과 외부적 개입 포괄

3.2.5.2.2. 조작적 조건과 필요한 요수를 통해 유기체의 변화를 인위적으로 가속화 유도하는 것을 강조

3.2.6. 논의 종합

3.2.6.1. 청소년개발이란

3.2.6.1.1.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체험, 경험, 활동 등을 제공함으로써 청소년기에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성공적인 성인으로서의 삶을 위해 필요한 역량들을 발달시켜 나가는 일련의 과정

3.3. 청소년개발의 개념이 청소년정책에 미친 영향

3.3.1. 1

3.3.1.1. 정책목적의 확장

3.3.1.1.1. 청소년정책의 목적

3.3.2. 2

3.3.2.1. 참여기회 및 여건의 확대

3.3.2.1.1. 청소년문제에 대응하는 반응적 접근보다는 다양한 친사회적 활동 기회와 여건을 만들어 줌으로써 청소년의 성장, 발달을 지원하는 것이 문제예방이나 감소에 보다 효과적이며, 성공적인 성인으로서의 삶을 준비하도록 하는데에도 효과가 있다

3.3.3. 3

3.3.3.1. 정책적 전략의 수정

3.3.3.1.1. 정책관심

3.3.3.1.2. 정책투입

3.3.3.1.3. 개발무대

3.3.3.1.4. 청소년지도자

3.3.3.1.5. 청소년역할

4. 4

4.1. 청소년개발의 목표

4.1.1. 외국의 사례

4.1.1.1. 미국농무성(USDA, 1920)

4.1.1.1.1. 4-H Youth Development 사업

4.1.1.2. 청소년발달에 관한 카네기 위원회

4.1.1.2.1. 인지적 발달

4.1.1.2.2. 사회적 발달

4.1.1.2.3. 신체적 발달

4.1.1.2.4. 정서적 발달

4.1.1.2.5. 도덕적 발달

4.1.1.3. 미국 보건사회복지부, 1998)

4.1.1.3.1. 소속감

4.1.1.3.2. 괘활성

4.1.1.3.3. 사회적 능력

4.1.1.3.4. 정서적 능력

4.1.1.3.5. 인지적 능력

4.1.1.3.6. 도덕적 능력

4.1.1.3.7. 자기결정감

4.1.1.3.8. 자기효능감

4.1.1.3.9. 긍정적 자아정체감

4.1.1.3.10. 미래에 대한 확신

4.1.1.3.11. 친사회적 행동

4.1.1.4. 홍콩 성시대학의 청년발전목표(1998)

4.1.1.4.1. 지

4.1.1.4.2. 덕

4.1.1.4.3. 체

4.1.1.4.4. 군

4.1.1.4.5. 미

4.1.2. 우리나라의 사례

4.1.2.1. 체육청소년부-한국청소년기본계획

4.1.2.1.1. 수련활동의 지표

4.1.2.1.2. 영역

4.1.2.1.3. 목표

4.1.2.2. 문화관광부(1998) : 제2차 청소년육성5개년계획

4.1.2.2.1. 21세기 청소년상

4.1.3. 논의 종합

4.1.3.1. 1

4.1.3.1.1. 신체적 건강

4.1.3.2. 2

4.1.3.2.1. 정서적 건강

4.1.3.3. 3

4.1.3.3.1. 지적 역량

4.1.3.4. 4

4.1.3.4.1. 사회적 역량

4.1.3.5. 5

4.1.3.5.1. 시민적 역량

4.1.3.6. 6

4.1.3.6.1. 문화적 역량

4.1.3.7. 7

4.1.3.7.1. 직업적 역량(고용가능성)

4.1.3.8. 8

4.1.3.8.1. 성취동기

4.1.4. 발달자산 개념 활용

4.1.4.1. 지역사회 수준의 청소년프로그램 위원회

4.1.4.1.1. 긍정적 청소년발달을 촉진하는 개인적*사회적 자산(asset)

4.1.4.2. 서치연구소의 '40개의 발달자산'

4.1.4.2.1. 표2-2

5. 5

5.1. 긍정적 청소년개발 모델(PYD)

5.1.1. 기본 가정

5.1.1.1. 청소년기의 발달

5.1.1.1.1.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간 역동적이고 상호호혜적인 상호작용

5.1.1.2. 발달적 맥락주의 다양한 원칙들

5.1.1.2.1. 1

5.1.1.2.2. 2

5.1.1.2.3. 3

5.1.1.2.4. 4

5.1.1.2.5. 5

5.1.2. .

5.1.2.1. .

5.1.2.2. https://crawling-passenger-abb.notion.site/PYD-1bce9ea958c680dfa8facc815ee1c093?pvs=4

5.2. 벤슨와 사이토의 청소년개발

6. 6

6.1. 2.6 청소년개발과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

6.1.1. 1

6.1.1.1. 청소년활동의 의미 명확

6.1.2. 2

6.1.2.1. 부정적 인식에 대해 직면

6.1.3. 3

6.1.3.1. 후원자 집단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6.1.4. 4

6.1.4.1. 국가정책적 이슈나 제도들과 연계체계를 구축할 필요

6.1.5. 5

6.1.5.1. 증거자료의 구축과 과학적 해석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6.1.6. 6

6.1.6.1. 모니터링과 평가체계의 강화가 필요함

6.1.7. 7

6.1.7.1. PYD에 참여할 사람과 기관을 설정하고 그들의 역할을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음

6.1.8. 8

6.1.8.1. 공공기관과 사설기관 간의 연계협력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6.1.9. 9

6.1.9.1. 안정된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