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교육과정 편성 운영
1.1. 국가 교육과정 총론에 교육과정 편성 운영 기준 제시
1.2. 국가수준 교육과정
1.2.1. 국가의 교육과정 기준 개발
1.2.1.1. 교육과정 대강화
1.2.1.2. 최소 기준
1.3. 지역수준 교육과정
1.3.1. 지역 실정에 적합한 교육과정 지침과 자료 개발
1.4. 학교수준 교육과정
1.4.1. 학교의 특색있는 교육과정 개발
1.5. 교사수준 교육과정
1.5.1. 교육과정 재구성(교육과정 개발의 관점)
1.5.2. 교육과정 생성(과정)
1.5.3. 학습자와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1.5.4. 교사의 자율권 보장
1.5.5. 집단 전문성 개발
1.5.5.1. 교사학습공동체
2. 교육과정 실행
2.1. 교수-학습
2.1.1. 협력학습
2.1.2. 토의토론학습
2.1.3. 역량중심(역량기반)
2.1.3.1. 범교과학습
2.1.3.2. 필요성: 융합인재육성
2.1.4. 교과융합적(통합적)접근
2.1.5. 발달과 삶
2.1.6. 경험
2.2. 교수지식
3. 교육과정 평가
3.1. 평가기준개발
3.1.1. 과정 중심 평가
4. 교육과정의 유형
4.1. 공식적 교육과정
4.2. 실제적 교육과정
4.2.1. 가르친 교육과정
4.2.2. 학습된 교육과정
4.2.3. 평가된 교육과정
4.3. 잠재적 교육과정
4.4. 영 교육과정
4.4.1. 공식적 교육과정에 포함되지 않는 사고 양식들
4.4.2. 학습할 기회가 없는 교육내용
5. 교육과정 개발
5.1. 구성 및 설계
5.1.1. 총론
5.1.1.1. 교육과정의 성격
5.1.1.2. 교육과정 구성 방향
5.1.1.2.1. 추구하는 인간상
5.1.1.2.2.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5.1.1.2.3. 학교 급별 교육목표제시
5.1.1.3.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기준제시
5.1.1.3.1. 학년군
5.1.1.3.2. 교과군
5.1.1.3.3. 집중이수
5.1.1.3.4. 범교과 학습(통합, 연계)
5.1.1.3.5. 편제와 시간
5.1.1.4.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5.1.1.4.1. 학년군
5.1.1.4.2. 교과군
5.1.1.4.3. 교육 여건과 환경 반영
5.1.1.4.4. 교수학습
5.1.1.4.5. 평가
5.1.1.5. 학교교육과정의 지원
5.1.1.5.1. 국가 수준의 지원
5.1.1.5.2. 교육청 수준의 지원
5.1.2. 각론
5.1.2.1. 교육내용선정
5.1.2.1.1. 교과
5.1.2.1.2. 비교과
5.1.2.2. 총론과 유기적 연계
5.1.2.2.1. 적정화, 연계성
5.1.2.3. 유초연계
5.1.2.3.1. 적정화
5.1.2.3.2. 계속성의 원리
5.1.2.3.3. 계열성의 원리
5.1.2.3.4. 접합성의 원리
5.2. 개발 모형
5.2.1. 백워드 설계